목록프로그래밍 (299)
Dharma
$ emacs ~/.bash_profile 하시고 맨 아래쪽에 alias ls='ls -G' 이것만 추가해 주시고 저장하면 다음번부터 컬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맥스 (Emacs) 에서 영문 폰트는 기본적으로 지정해 줄 수가 있습니다. 한글하고 일어 한문은 지정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이 가장 쉬운듯 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EDIT: 나눔 고딕 폰트 설치를 위해서 먼저 나눔고딕 폰트를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겠지요? 나눔고딕 페이지 이동 osx 10.6 (SnowLeopard) 테스트 클라이언트 (Client) : Aquamacs 2.1 이고 .emacs 파일에 다음과 같이 써 주면 됩니다. (set-fontset-font "fontset-default" '(#x1100 . #xffdc) '("NANumGothicCoding" . "unicode-bmp")) ; (set-fontset-font "fontset-default" '(#xe0bc . #xf..
가지고 있던 맥북 프로를 지금 일하는 곳에 묶이게 되버려서 새로 노트북을 장만했습니다. 맥북 에어를 장만 했는데 Lion 이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아무 생각 없이 Mac port 를 설치해 줬는데 동작을 안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전 기억을 더듬어 봤더니 XCode 를 설치해 줘야지만 동작했던 게 기억이 났습니다. 그래서 App Store 에서 XCode 4.3 을 설치하고 돌려봤지만 여전히 동작을 안합니다. 이유를 알아봤더니만 예전에 추가로 설치해 줬던 'System Tools' 가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였습니다. XCode 4.3 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1. XCode 를 실행시키고 메뉴중에서 "XCode" -> "Preferences..." 을 선택합니다. 2. "Download..
먼저 하둡(Hadoop) 이 필히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번에 HBase 를 가-분산 방식 (Pseudo Distributed )으로 설치해 볼 예정이기 때문에 하둡 (Hadoop) 또한 가-분산 방식으로 설치가 되어 있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하둡이 먼저 설치되어야 하는 이유는 HBase 가 하둡 기반위에서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HBASE_HOME/lib 밑의 추가되어 있는 hadoop-core-x.x.x.jar 는 스탠드얼론(Stand Alone) 버젼에서 쓰이는 것으로 나중에 분산적용할 때는 클러스터(Cluster)에 설치되어 있는 하둡과 버젼을 일치시켜줘야 한다. 따라서 HBase 0.92.0 버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Hadoop-1.0.0 버젼이 설치되어야 합니다. 하둡 설치하는 방법은..
EDIT: 실제로 HDFS 가 저장되는 디렉토리를 지정해줘야 합니다. 지정 안해주면 기본적으로 /tmp 밑에 파일이 생기는 데 리부팅(rebooting) 하게 되면 파일이 사라져서 두번째 부터는 네임노드 (namenode)가 구동하지를 않습니다. 저번 포스트 (누름) 에서 Stand Alone 방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가 분산 방식입니다. '가 분산' 방식은 한대의 컴퓨터에서 하둡 파일시스템 (hdfs) ,잡 트랙커 (Job Tracker),와 네임노드 (NameNode), 데이타노드 (DataNode) , 태스크트래커 (TaskTracker) 를 띄우는 방식입니다. 마치 분산을 풀로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한대에서만 돌리는 것이지요. 그래서 '가 분산' (Pseudo Distribui..
우분투 (11.10) 에서 Emacs 를 콘솔모드로 (Console Mode) 로 사용중입니다. 뭐 다 괜찮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그럭저럭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단어 뒤로 옮기는 명령인 Meta-B 를 누를때마다 (보통은 Alt-B 를 누름) 터미널의 메뉴가 뜨는 것입니다. 당연히 사용하기 짜증이 나겠지요?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터미널 '메뉴' -> 'Edit' -> 'KeyBoard Shortcuts..' 로 이동해서 Enable menu access keys (such as Alt+F to open the File menu) 라는 것 앞의 체크박스를 해제 해 줍니다. Meta-B 기능을 바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bashrc 는 터미널이 생성될 때마다 읽히는 것이고 .bash_profile 은 개인적인 설정으로 로그인 할 때마다 읽히는 것입니다. 그런데 .bash_profile 을 수정했는데 (예를들면 JAVA_HOME 이라던가 PATH 라던가) 안 읽히는 것입니다. 뭐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암튼 이런 경우가 발생했을 때의 해결방법입니다. $HOME/.bashrc 를 에디터로 엽니다. $ emacs ~/.bashrc 아래쪽쯤에 if [ -f ~/.bash_profile ]; then . ~/.bash_profile fi 이렇게 추가 해줍니다. 그러면 끝!!
원문은 아래의 URL 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hbase.apache.org/book.html#quickstart 위의 페이지를 살펴보면 간단하게 시작할 수가 있습니다. 영어가 싫은 분들을 위해서 조금 사족을 덧 붙이자면 1. Hbase 를 다운 받는다. http://ftp.daum.net/apache/hbase/stable/ 여기에서 hbase-0.92.0.tar.gz 를 다운 받습니다. 안정화 (stable) 버젼이고, 0.92.0 버젼 입니다. 2. 적당한 곳에 압축을 풀어 준다. $ tar xvf hbase-0.92.0.tar.gz $ cd hbase-0.92.0/ 3. conf/hbase-site.xml 파일을 열어서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hbase.rootdir file:///..
우분투(Ubuntu) 에 자동으로 포함되어 있는 openjdk 와 sun 의 jdk 가 미묘하게 차이가 있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실은 저도 못 느껴본 차이긴 하지만 있다고 합니다. 무엇인가를 개발할 때 특히나 오픈소스(Open Source)를 가져다 쓸 때는 환경 문제가 특히나 중요한데, 지금 할려는 작업이 sun-jdk 를 설치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무지 간단하게 썼지만 막상 sun-jdk 를 설치하는 일은 한줄로 되지는 않습니다. 다섯줄 입니다. $ sudo apt-get install python-software-properties $ sudo add-apt-repository ppa:ferramroberto/java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
$ apt-get install java 로 한방에 끝이 납니다. 그러나 게스트OS 에서 인터넷을 쓸 수 없는 지금은 모든것을 수동으로 깔아줘야 합니다. 다음으로 이동해서 라이센스에 동의 하시고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jdk-6u31-download-1501634.html jdk-6u31-linux-i586.bin 를 다운 받습니다. $ sudo mkdir /usr/java $ sudo cp jdk-6u31-linux-i586.bin /usr/java $ sudo su - 루트 계정으로 변경합니다. # cd /usr/java # ./jdk-6u31-linux-i586.bin # exit 다시 본래 계정으로 돌아와서 $ ema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