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프로그래밍 (299)
Dharma
골치 아프게 고민하지 마시고 http://localhost:631 에서 모든 것을 전부 설정해 줄 수가 있습니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Linux Mint 를 설치해봤습니다. 결론은 대 만족입니다. 우분투 또는 리눅스 OS 를 메인으로 사용하고 싶은 사람에게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곁들여서 제 환경을 조금 이야기 하자면 저는 컴퓨터가 5대 있습니다. 집에서 쓰는 데스크탑 1대와 서버 1대 , 그리고 노트북 3대 입니다. 노트북은 각각 Macbook-Air , Macbook-Pro , Sony VAIO 입니다. 제가 컴퓨터를 고르는 기준은 일단 데스크탑은 'Power' 입니다. 강력해야만 합니다. 노트북을 고르는 기준은 '이쁨' 입니다. 진짜 수년동안 노트북을 써왔지만 작고 이쁜게 최고 입니다. 그래서 VAIO 를 사용했었는데 최근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돈값을 못합니다. 그래서 애플로 갈아탔습니다. 작고 이쁜 소니에서 ..
기존 .xsession 의 내용이 gnome-session --session=ubuntu-2d 로 되어 있었습니다. 우분투 새버젼 (12.04 Precise Pangolin) 으로 업데이트 한 후 원격 데스크탑으로 접속을 하니 프로그램 매니져가 안보이더군요. $ emacs ~/.xsession 후에 다음과 같이 내용을 바꿔줍니다. gnome-session --session=gnome-classic 이후에는 제대로 나올 것입니다. 유아이가 좀 구리긴 해졌지만.. 안되는 것 보다는 낫지 않겠습니까? ㅎㅎ 아 중요한 것을 빼먹었습니다. xrdp 서버를 다시 띄워줘야 합니다. $ sudo /etc/init.d/xrdp restart * Stopping RDP Session manager [ OK ] * Star..
아침에 보니 출시가 됐더군요. 바로 업데이트를 해줬습니다. Penguin 이 될 꺼라는 예상을 했었지만 Pangolin 이 되버렸더군요. (모르고 있었음) 위키를 연결해뒀지만 생긴게 이렇게 생겼더군요. 개미핥기의 일종이래나 뭐라나.. 천산갑이라니 뭔가 이상한 이름이군요 ㅎㅎ
HBase 는 가-분산 방식 까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Hadoop 은 완전-분산 방식까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지난 포스트들을 찾아보세요) 4대의 서버에 걸쳐서 HBase 클러스터링 설정을 하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nobody1 - HMaster nobody2 - RegionServer nobody3 - RegionServer nobody4 - RegionServer 이제 설정파일들을 검토하겠습니다. conf/hbase-env.sh # export JAVA_HOME=/usr/java/jdk1.6.0/ export JAVA_HOME=/usr/lib/jvm/java-6-openjdk 를 추가해주고 (아마 되어 있을 것입니다) # export HBASE_CLASSPATH= export HADOO..
드디어 정리를 해서 올리게 됐습니다. 하둡 (Hadoop) 클러스터링(Clustering) 은 가-분산 방식 으로 설치가 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겠습니다. nobody1 -> master , namenode nobody2 -> datanode , secondary-namenode nobody3 -> datanode nobody4 -> datanode이런 형식으로 설정을 할려고 합니다. 모든 서버는 전부 같은 계정 (예를 들면 hadoop )으로 세팅이 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그리고 모든 서버는 서로 서로 password 없이 ssh 로 로그인이 된다는 가정이 필요합니다. nobody1 서버에서 세팅을 하고 나머지 서버로 rsync 를 이용해서 동기화를 시켜줄 것입니다. 하둡은 설정파일에 기재되어 있..
프로젝트를 만들다 보면 너무나 당연하게 디펜던시를 가지는 프로젝트가 생기게 됩니다. 메이븐은 기본적으로 디펜던시를 가져다가 프로젝트를 만들게 되는데 이를 수동으로 해야할 필요가 생긴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즉 A : 실행파일이 만들어지는 프로젝트 B : A 가 참조하는 프로젝트 C : B 가 참조하는 프로젝트 A - - B - - C 이런식으로 아마 만들어지는 것이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방법일 것입니다. 그러나 메이븐에서 관리를 하게 된다면 조금 다른 식이 됩니다. P (parent) 가 존재해서 P - A - B - C 같은 식으로 프로젝트가 존재하게 됩니다. 그리고 각각은 pom.xml 만 수정해서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수정해야 할 부분을 따라하기로 만들어 보..
자바 프로젝트 관리툴인 Maven 을 설치하고 프로젝트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정말 초! 난감하더군요. 이걸 대체 어떻게 시작하는 것인가 하고 말이죠. Leingen 이라는 툴과 많이 비슷하더군요. (레인젠 은 클로져 프로젝트 관리 툴) 즉 프로젝트 만들고 관리해 주는 것이라고는 알겠는 데 정말 시작하기가 막막 하더군요. 일단 설치하고 나서 바로 실행해 줍니다. $ mvn archetype:generate 저는 여기서 바로 압도 당하게 됐습니다. 수백개의 (정말 수백개의!! : 566 개) 프로젝트 유형이 나오더군요. 사실 이런게 뭐가 중요하겠습니까? 여기서 무엇을 선택할지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해서 글을 쓰는 것입니다. 그림에 보면 맨 마지막에 '186' 이라고 쓰여져 있지요? 그냥 186 을 입력하면 qu..
방화벽 뒤에서는 여러가지가 제한적입니다. 제가 딱히 iChat 를 좋아하지는 않지만 쥐메일 ( Gmail ) 접속해서 웹 인터페이스로 채팅하는 것보다는 편하니 막혀있는 iChat 를 이용해서 구글톡을 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합니다. 먼저 방화벽 외부에 ssh 로 접근이 가능한 서버가 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겠습니다. ssh 로 접근이 가능한 계정이 없다면 시원하게 포기하시면 됩니다. Terminal 창에서 $ ssh -g -L 5223:talk.google.com:5223 -N you@yourserver you@yourserver 는 위에서 언급한 ssh 로 접근이 가능한 방화벽 외부의 서버가 되겠지요? 그러한 서버가 있다면 위와 같은 명령으로 포트를 연결시키는 것입니다. 그리고 iChat 를 실행시키고 ..
샤딩 (Sharding) 을 하는 방법 또는 복제 셋 (Replication) 을 하는 방법에 관한 예제는 잘 나와 있습니다. 그런데 실전에서는 복제와 샤딩을 동시에 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입니다. 이것에 관한 예제가 많이 없더군요. 어쩌다 찾은 것이 한개 있지만 한 기계에서 가상으로 돌려보는 예제 입니다. 이러한 예제로는 샤딩을 제대로 테스트 할 수가 없더군요. 하지만 그 문서를 바탕으로 실제로 샤딩과 복제를 클러스터 환경에서 테스트 해 봤습니다. http://cookbook.mongodb.org/operations/convert-replica-set-to-replicated-shard-cluster/ 위 내용은 한 기계안에서 샤딩과 복제 셋을 테스트 하는 예제 입니다. 원칙대로라면 복제 셋 (Rep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