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프로그래밍 (299)
Dharma
저번 포스트 에서 빌드가 끝나서 설치를 한 emacs 를 실행해 보면 아마도 에러가 발생할 것입니다. (죄송합니다..) emacs: Cannot open termcap database file 구글신에게 신탁을 부탁하니 다음과 같은 라이브러리가 없어서 에러가 난다 하시더군요 libncurses5-dev 그래서 아래의 url 로 이동하여 https://launchpad.net/ubuntu/+source/ncurses/5.9-1ubuntu5/+build/2789460 ( 5.9-1ubuntu5 버젼으로 맞춰줘야 하기 때문에 위 url 로 이동해야 합니다. ) libncurses5-dev_5.9-1ubuntu5_i386.deb (233.6 KiB) 이 버젼을 받아서 설치해 줍니다. 설치 방법은 우분투의 적당한..
지금 일하는 곳이 버추얼박스 (VirtualBox) 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안잡히게 하는 멋진 보안 환경 때문에 공유폴더를 이용해서 파일을 복사하여 수동으로 설치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GTK 를 써야만 하는 X 를 지원하는 Emacs 는 엄두도 못 내고 , Console 모드로 컴파일 해서 사용할려고 하다가 에러가 발생해서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Emacs (23.4) 를 우분투 (11.10) 에서 수동으로 컴파일 할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make[1]: *** No rule to make target `/usr/lib/crt1.o', needed by `temacs'. Stop. crt1.o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 것임을 알 수가 있습니다. $ gcc -print-file-name=cr..
기존 계정에서 실행하는 것은 문제가 없는데 , 네트워크 상에서 (즉 WorkGroup 으로 묶인 계정으로) 로그인 해서 사용할려고 실행할 때 발생하는 에러를 해결하는 방법 입니다. Debugger entered--Lisp error: (error "The directory ~/.emacs.d/server is unsafe") signal(error ("The directory ~/.emacs.d/server is unsafe")) error("The directory %s is unsafe" "~/.emacs.d/server") server-ensure-safe-dir("~\\.emacs.d\\server\\") server-start(nil) call-interactively(server-start t..
바야흐로 폭발적인 데이터의 시대가 왔습니다. 저번 포스트 에서도 언급을 했지만 RDBMS 와 다르게 확장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것이 NoSQL 입니다. 즉 '분산' 으로 그 폭발적인 데이터들을 전부 수용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NoSQL 중에서 CouchDB 를 잠시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http://couchdb.apache.org/ 위 링크에서 대략적인 것을 살펴 볼 수가 있습니다. CouchDB 의 가장 큰 특징은 (절대적으로 제 관점입니다) Subversion 같은 파일 레파지토리 시스템 (File Repository System)을 분산 DB 형태로 바꾸어 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세한 몇가지 특성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1. Erlang 이란 언어로 쓰여짐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는..
최근에 다시 피씨를 세팅할 일이 생겨서 (Windows 7) EmacsW32 최신 버젼과 서브버젼 (Subversion) 최신 버젼을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어찌된 일인지 갑자기 잘 되던 SVN 과 Emacs 의 연동이 안되더군요. 그래서 여러가지 방법을 시도하던 와중에 문제점을 발견했습니다. 디렉토리 구조중 최상위 (Root) 를 제외하고는 .svn 폴더들이 전부 사라진 것이였습니다. 이것도 모르고 Emacs 를 버젼별로 깔아대는 삽질을 하고 있었습니다. 결국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한 svn 개발팀에서 하위 디렉토리의 .svn 폴더들을 삭제하는 결정을 한 것이겠지요. 따라서 엄한 emacs 사용자들만 야단이 났습니다. 지금 릴리즈 되는 버젼들에는 저 변동사항이 적용이 안 되어 있기 때문이지요. 해결 방법은 ..
화살표는 신경 쓰지 맙시다.. Consistency : 일관성 각각의 사용자가 항상 동일한 데이터를 조회한다. Availability : 가용성 모든 사용자가 항상 읽고 쓸 수 있다. Partition Tolerance : 확장 가능성 물리적 네트워크 분산 환경에서 시스템이 잘 동작한다. 기존의 RDBMS 로 칭해지는 데이타베이스들은 CA 에 취중합니다. 따라서 확장이 용이하지가 않고, 대신 최근 트렌드가 되고 있는 NoSQL 들은 기본적으로 P 의 성능이 좋습니다. 그래서 확장성은 기본입니다. 대신 C 나 A 의 일부분을 희생합니다. 카산드라 (Cassandra) 는 AP 를 추구 하고, HBase 는 CP 를 추구합니다. 카산드라는 페이스북이 채택하고 개발해진 것으로 알려지고 유명해 졌는데요. Con..
힘들게 저번 포스트 에서 정리를 했더니 더 쉬운 방법이 있다고 알려줘서 정리를 해 둡니다. (시작할 때 왜 알려주지 않은건가여.. ) 저번과 거의 동일 합니다. 1. 아파치 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apache2 2. 톰캣 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tomcat7 tomcat7-docs tomcat7-admin tomcat7-examples 설치해두면 언젠가는 쓸모가 있으니 한꺼번에 설치해줍니다. 3. 제대로 설치됐는지 확인해보기 http://localhost 와 http://localhost:8080 으로 페이지가 제대로 뜨는지 확인해 줍니다. 만약 페이지가 제대로 뜬다면 apache2 와 tomcat7 은 제대로 설치된 것입니다. 여기까지는 동일하고..
아파치 와 톰캣7.0(Tomcat 7.0) 을 연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글입니다. 많은 분들이 당연히 연동 시켜야 한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톰캣 자체에 웹서버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꼭 해줄 필요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왜 해주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톰켓 자체는 서블릿과 JSP 해석에 일을 집중시키고 아파치 자체는 html 과 그외 나머지 리소스를 처리하게 해주는 식으로 분산 시켜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고작 저 따위 이유로 많은 분들이 설정하느라고 고생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손쉽게 따라하기로 연동시켜보기로 합니다. 1. 아파치 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apache2 2. 톰캣 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tomcat7 tomcat7-docs ..
무엇인가를 해 볼려면 역시 설치부터!! 정말 하둡 초 간단 따라하기 식 설치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시작전에 환경세팅이 필요합니다. 어떤 OS 기반위에 설치할 것인가를 정해야 하는데 저는 그냥 리눅스로 정했습니다. 환경세팅자체도 쉽고 하둡도 리눅스를 추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가장 최근에 릴리즈된 우분투 11.10 (Ubuntu 11.10) - 다운로드 페이지 로 정했습니다. 하둡 설치 형태는 3가지로 나뉩니다. 1. StandAlone - 하둡 파일 시스템을 띄우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만 테스트 해 볼 수 있는 상태이다. 2. Pseudo Distribution - 하둡 파일 시스템을 구동시키고 한 컴퓨터에서 모든 데몬들을 띄워서 동작하는 것을 테스트 해볼 수 있는 상태 3. Cluster..
예전의 복잡했던 방법에서 탈피해서 MS 의 CoreFonts 들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열렸습니다. 너무 쉬어서 쓰기도 부끄럽군요. 우분투 (Ubuntu) 11.10 에서 테스트 했습니다. "Oneiric Ocelot"(몽환적 시라소니) 라고도 하지요. $sudo apt-get install cabextract 로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제 경우에는 이미 설치되어 있더군요. 그리고 스크립트를 한개 만듭니다. vista-fonts-installer.sh 로 만들어 줬습니다. 다음은 그 파일에 저장될 내용입니다. #!/bin/sh # Copyright (c) 2007 Aristotle Pagaltzis # # Permission is hereby granted, free of charge, to 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