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초보사장 생활 (1270)
Dharma
올해의 화두는 Slow '천천히' 또는 '급하지 않게' 입니다. 저는 참 성격이 급합니다. 결정하거나 말하는 것을 절대 참지 않는 성격입니다. 결정을 빨리하는 것 때문에는 의도하지 않은 좋은 결과가 많이 나왔지만 , 말하는 것을 참지 못하고 하는 것 때문에는 불필요한 언쟁과 싸움이 그치지 않았습니다. 지난해를 돌아다 보니 저의 이 급한 성격 때문에 여러가지를 제대로 못 하고 있었다는 것을 느낍니다. 급하기 때문에 한꺼번에 두가지 일을 처리 할려고 해서 , 저는 두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두개 다 실패했다는 생각이 들고요. 이는 한가지 일에 몰입해서 한가지 일을 끝내고 다음번 일을 하는 것이랑은 다릅니다. 동시에 두개를 진행하는 것이지요. 급하기 때문에 남의 말을 경청하지 않고 자신의 말을 함으로 상대방을 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4/17_35_35_23_blog123232_attach_0_0.gif?original)
이영도 "네 마리의 형제 새가 있소. 네 형제의 식성은 모두 달랐소. 물을 마시는 새와 피를 마시는 새, 독약을 마시는 새, 그리고 눈물을 마시는 새가 있었소. 그 중 가장 오래 사는 것은 피를 마시는 새요. 가장 빨리 죽는 새는 뭐겠소?" "독약을 마시는 새!!" 고함을 지른 티나한은 모든 사람들이 자신을 쳐다 보자 의기양양한 얼굴이 되었다. 하지만 케이건은 고개를 가로 저었다. "눈물을 마시는 새요" 언제나 무덤에서 돌아왔다고 첫글에 대한 코멘트를 다는 이영도 님의 '눈물을 마시는 새'입니다. 저번에 '폴라리스 렙소디'에 이어서 계속해서 이영도님의 글을 보고 있습니다. 평가절하 되기 쉬운 판타지를 문학의 위치까지 끌어올렸다는 평을 듣는 이영도님, 글 자체의 마력이 대단합니다. 톨킨류의 판타지만 존재하..
기본적으로 cppUnit 에서 쓰이는 main 함수는 Text 모드 일때는 동일합니다. 각각의 세부 정보까지 표시하게 만든 버젼입니다. 다음부터 cppUnit Test Project 를 작성할때는 이부분을 복사해서 main 부분을 구성하면 똑같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t main (int argc, char * argv[]) { CPPUNIT_NS::TestResult controller ; CPPUNIT_NS::TestResultCollector result ; controller.addListener(&result); CPPUNIT_NS::BriefTestProgressListener progress ;..
요즘 심기가 아주 불편합니다. 뭐 이유는 대충 추정이 가능하시겠지요. 가까스로 언론의 자유가 존재하는 세상에 산다고 해서 기뻐했는데 그게 어떻게 될지 모르니 답답합니다. 정치타락은 정치가가 뇌물을 받는것 만을 의미하는게 아니다. 그것은 단지 정치가 개인의 타락일 뿐이다. 정치타락이란 것은 사람들이 정치가의 뇌물수수를 말할 자유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 양 웬리 -
지은이: 이영도 멸망은 완성의 귀결 .. 책을 끝까지 읽고나서 이영도 작가가 자주 인용하는 이 귀절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 끝이 나지 않으면 무엇이든지 중간이기 때문일까? 노래가 불러지는 중간이라면 노래가 완성 된게 아니다. 마지막까지 노래가 흘러가고 끝이 되서야 노래가 완성되기 때문이다. 국가도 마찬가지며, 살아가는 삶이 또한 그러할 것이다. 끝이 되서야 전체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멸망은 바라지 않고 싶다. 다 읽고 나면 아쉬운 랩소디가 머릿속을 감돈다
불법적인 프로그램이 없는 노코북 (사무실에 놓아두고 쓰는 노트북)을 만들고자 컴퓨터를 전부 밀고 프로그램을 다시 깔았습니다. 그리고 불법적이지 않은 프로그램을 깔려고 노력했습니다. 사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비싼 개발툴 이더군요 . 요즘은 본격적으로 개발을 하지는 않지만 10년 넘게 만지작 거린 개발툴이 없으니 조금 허전에서 무료로 쓸 수 있는 MS 개발툴을 찾아 다녔습니다. 저번에 소개했던 Visual Studio Express 도 그런 종류였습니다. VSE 를 막상 사용해 보니 VSE의 용도를 알듯 하더군요 VSE 는 오픈 소스로 공개된 소스들을 주로 컴파일 해서 사용하는 데 쓰는데 적합하더군요. 사실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에는 그리 적합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제일 중요한 리소스 에디터를 ..
사실은 잘 쓰고 있었습니다. -0- 그런데 계속 사용하자니 이상하더군요. 제가 발행한 글을 보고 싶을때 , 검색에서 제가 발행한 글을 찾은 다음에 거기서 아이디로 보기 해서 보는 게 너무 답답해서 원인을 찾아 나섰습니다. 이올린에서 해법을 제시하더군요 하지만 저는 그 3가지 사항에 해당이 안되서 그래도 안되면 하라고 추천한 방법중에 하나인 메일로 문의 했습니다. 그래서 매우 친절한 답변이 오더군요 , 간단한 부분만 발췌 했습니다. 블로그 지정을 하실 때에, "발행" 이 된 포스트에서 인증을 해야만 합니다. "공개"글로 할 경우, 광이랑 님과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여기서 이올린에 등록된 대표블로그를 말씀하십니다.)를 삭제하신 후 다시 등록하시면 정상적으로 등록이 될 거 같은데요.. 번거..
일반형 FN 키가 눌러졌을때 뽀대를 위해서 샀지만 가장 불편할때가 화면 캡쳐나 이런 기능들을 수행할때 입니다. 그래서 돌아다니는 HHK 키보드 레이 아웃을 구해서 이렇게 올려 둡니다. 제가 잘 모를때 참조할까 합니다.
src-highlight 는 GNU 의 공개용 소프트 웨어 입니다. 주요한 기능으로는 소스파일들의 키워드에 색을 입혀서 HTML 로 생산해 내는 프로그램 입니다. 링크되어 있는 곳에 가보면 유닉스용 이 대부분인데 , 조금 찾다 보면 windows 용 바이너리도 있습니다. 제가 첨부에 링크해 놨으니 편하게 받아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보통 소스가 다음처럼 보입니다. #ifndef __FILETEST_H__ #define __FILETEST_H__ #include class FileTest : public CPPUNIT_NS::TestFixture { CPPUNIT_TEST_SUITE(FileTest); CPPUNIT_TEST (testFileSaveAndLoad); CPPUNIT_TEST_S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