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프로그래밍 (299)
Dharma
GuestOS 가 우분투 (Linux) 고 HostOS 가 윈도 계열인 경우에 공유 폴더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제가 있는 곳에서 화면 캡쳐 기능이 안되는 관계로 글로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 게스트 확장을 설치한다 2. 가상OS 선택하고 '설정' 을 선택합니다. 3. '공유 폴더' 탭을 설정합니다. 오른쪽에 추가 버튼을 누르고 '폴더 경로'를 '기타'로 해서 공유해줄 폴더를 지정해 줍니다. 그리고 폴더 이름을 외우기 편한 이름으로 바꿉니다. 전 다운로드 폴더를 지정하고 이름을 'downloads' 로 지정해줬습니다. (변경했습니다) 4. 게스트OS 로 들어갑니다. (우분투겠지요?) 5. 터미널 프로그램을 실행시킨후에 EDITED: 2013-07-01 참조: https://help.ubuntu.com..
Emacs 와 JDEE 와 Maven 과의 결합의 마지막을 해결했습니다. 그 전의 세팅을 보시고 싶으시면 1. Emacs 와 JDEE 로 안드로이드 개발하기 2. pom-parser 를 이용해서 pom.xml 을 파싱해서 classpath 에 포함시켜주기 2 번까지 끝을 내고 나니 Emacs 내에서 maven 컴파일과 빌드를 하고 싶더군요. (당장은 mvn install 만 되게) 딱히 다른 사람들이 만든 것은 내 필요에 부합하지 않은 것 같기도 하고 지원도 더 이상 하지 않는 것 같기에 직접 만들게 됐습니다. jdee 프로젝트 안에 있는 jde-make 를 변경했습니다. 간단하게 되더군요. 적당한 곳 (~/.emacs.d 안에)에 jde-mvn.el 을 복사하시고 .emacs 안에서 (require '..
저번에 올린 Emacs 와 JDEE 를 가지고 안드로이드를 개발하는 방법에 대해서 글을 올렸습니다. 그런데 최근 화두는 어떻게 하면 Maven 의 pom.xml 을 이용해서 JDEE 의 개발환경에 접목을 시킬까 하는 것이였습니다. 아.. 진짜 힘들었습니다. 그래도 몇가지 테스트와 노력을 끝으로 드디어 성공했습니다. 참고한 사이트입니다. http://www.emacswiki.org/emacs/JdeeAndMaven2Pom 여기에서 근본적인 pom-parser.el 을 다운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제대로 동작을 하지 않더군요. 이유는 maven 의 실행 옵션들이 변해서 그렇답니다. http://evadnoob.wordpress.com/2008/03/15/pom-parser/ 위 사이트를 참조하시면 어떻..
프로그래머들이 너무 많은 고민을 할 필요가 없다. 그대 앞에는 키보드가 놓여 있지 않은가? - 누군가의 말 - 누가 했는지 기억이 안나지만 제가 가끔 인용하곤 하는 말입니다. 너무 기술 문서를 보다 보면 '내가 지금 뭐하고 있나' 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는데 그때마다 이 말을 기억하고 바로 뭔가를 만들어 볼려고 노력하게 됩니다. 어쨌건 키보드를 잡으면 어지간하면 졸음이 달아나기 때문이지요 ㅎㅎ
MySQL 이 오라클 손에 넘어가고 부터 걱정한 사람들이 많았는데 MySQL 을 개발했던 담당자들도 걱정이 많았나 봅니다. MySQL 이 5.5.30 부터 변화가 없던 것을 우려해서 만들었다고 하는데요. (결국 그 우려는 현실로 드러났지요 http://goo.gl/a7AOs ) 그것은 바로 마리아디비 (https://mariadb.org/ )입니다. MySQL 하고 현재 100% 호환이라고 합니다. 즉 MySQL 서버대신 마리아디비로 바꿔버려도 그대로 동작한다고 합니다. (심지어 인스토 파일 이름도 install_mysql 어쩌구 입니다 ㅎㅎ) 오라클이 하는 짓이 짜증나신다면 한번쯤 생각해볼만한 대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MySQL 5.5.31 버젼에서 라이센스 변화가 아무도 모르게(?) 살짝 진행됐나 보네요. 기존 MAN Page This documentation is free software; you can redistribute it and/or modify it only under the terms of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as published by the Free Software Foundation; version 2 of the License. 바뀐 Man Page This software and related documentation are provided under a license agreement containing restrictions on use and disc..
우분투 13.04 버젼을 설치하고 나니 기존에 12.xx 버젼에서 발생했던 문제가 그대로 있더군요. 기존의 문제는 xrdp 를 설치하고 외부에서 원격 데스크탑 (Remote Desktop)을 이용해서 접속해서 작업을 할 때 'd' 키를 누르면 모든 화면이 태스크바로 사라지면서 바탕화면이 나오는 문제 입니다. 이거 때문에 작업이 힘듭니다. ( cd , sudo 등 d 자 들어가는 유닉스 명령이 얼마나 많습니까? ㅎㅎ) 해결 방법을 찾아내서 정리해서 올립니다. 1. ccsm ( compizconfig-settings-manager ) 을 설치해 줍니다. $ sudo apt-get install compizconfig-settings-manager 2. ccsm 을 실행시켜 줍니다. $ ccsm 3. 왼쪽 탭..
예전 포스트 에서 해결하는 방법을 올렸지만 unity-2d 랑 gnome-classic 등이 동작 안하는 현상이 13.04에서 발견됐습니다. 새로운 방법을 올리겠습니다. 1. 기존에 쓰여져 있던 .xsession 을 지웁니다. (만약 존재한다면) 2. 다음과 같이 차례로 입력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gnome-session-fallback $ echo "gnome-session --session=gnome-fallback" > .xsession $ sudo /etc/init.d/xrdp restart unity-2d 가 gnome-fallback 으로 바꼈다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카더라 통신입니다만..)
제가 최근에 읽었던 프로그래머들의 특징에 관한 글중에서 공감이 갔던 구절이 하나 있습니다. "프로그래머는 UX (User eXperience)를 개발한다고 해도 자신이 좋아하는 환경은 CLI (Command Line Interface)다" 다시금 진행하기전에 다짐하듯이 말씀드리는 사항은 안드로이드 (Android) 개발하기에 최적의 환경은 Google 에서 제공하는 ADT (http://developer.android.com/intl/ko/sdk/index.html) 환경에서 개발하는 것입니다. 이 포스트는 ADT 에서 개발을 진행하더라도 자꾸 자꾸 눈이 CLI 환경에서 떠나지 않는 중독자(?!!)들을 위한 것입니다. 이 포스트는 Emacs Version 24로 업글후 Clojure 와 Common Li..
예전 포스트 에서 새로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한적이 있습니다. 그 때는 영어로 표현됐지만, 결국 핵심은 "그 것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환경으로 자신을 몰아 넣으라는 것" 입니다. 저의 몇가지 경험담을 소개하겠습니다. 첫째. 세벌식 저는 세벌식 390 유저입니다. (세벌식 최종보다는 390이 더 손에 맞더군요). 이걸 95년도부터 사용했으니 꽤 오래 사용했습니다. 물론 이것을 배워서 쓰기전에는 저는 두벌식 유저였습니다. 틈만나면 꾸준히 한메타자로 연습했기 때문에 분당 400타를 넘나들 정도로 빠른 타수를 자랑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공병호 박사의 세벌식에 관한 글을 읽고 나서 세벌식으로 바꿔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한 일은 그냥 집에 있는 모든 자판 환경을 세벌식으로 변경한거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