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게임 (79)
Dharma
퀘스트 자체는 많이 쉽습니다. 이런 슈레더(벌목기)를 타고 마구 마구 때려부시고 죽이면 됩니다. 여유로운 퀘스트를 끝내고 기념사진 한장 찍습니다.
퀘스트를 하다보니 어린 나가들을 인질로 나가 두목하고 협상하는 퀘스트가 있습니다. (대체 고블린들 사고방식은 ... ) 두목나와!! 하고 외치면 나오는 두목이 '얼굴없는 자' 더군요. 후덜덜.. 무역왕은 '아즈샤라'에 가고 싶어했습니다. 그리고 가다가 만난 '나가'들 그리고 길 중간에 있는 저런 '촉수'들 뭐 느낌이 팍 오더군요. 뭐 매번 써먹는 떡밥이지만 또 당할 수 밖에 없더군요. 대체 어떤 '고대신' 일까? 분명 아즈샤라 여왕의 타락에는 '요그사론'인 듯한 떡밥을 던졌는데 아닌거 같은 느낌도 들고요 흠.. 암튼 재밌습니다.
섬에서는 완전 GTA 나 다름없습니다. 온갖 무법에 사람을 자동차로 치고 지나가질 않나.. 그리고 섬을 벗어나자 마자 펼쳐진 풍경입니다. 스토리 자체가 완전 코미디에 가깝고 재밌습니다. 이거 고블린에 살짝 애착이 가는걸요?
마을 친구들과 함께 차를 타고 니트로 엔진 쓰면서 달리면서 경적 울리며 사람들 쫓아버릴 수도 있습니다. 고블린 퀘스트들은 아주 사악한 것들이 많아서 마음에 드는군요 ㅋㅋㅋ
고블린 도시 케잔입니다. 저 엄청난 물효과 -0- 정말 사양을 대격변 해야 할 분들이 많은 듯 합니다.
메일을 확인해 보니 대격변 다운 받을 수 있게 해줬네요. 암 생각 없이 다운 받아서 캐릭을 생성했습니다. 마법사니까 이름으로 소서러.. 새로운 퀘스트를 해보고 싶어서 고블린 마법사 캐릭으로 만들어 봤습니다. 고블린 여캐릭터는... 하아.. 확실히 호드 캐릭터들 답더군요. (블엘은 호드가 아냐!!!!) 잠깐 해보고 접을꺼라 여자 캐릭터로 만들어보려고 했으나 정말 못 봐주겠더군요 ㅋㅋㅋ
아 이미 존재하고 있는건 아니고요. 아무도 시도를 안하고 있는 것 같아서요. 물론 시도를 어딘가에서 하고 있을지 모르고, 또 유명한 작품이 있을지 모르지만 제가 들어본적은 없습니다. 얼마전에 나온 무더위 날릴 공포게임 몰려온다. 기사도 보고 하니 친구들하고 이야기 했던 것이 생각났습니다. 저는 공포영화를 매니아까지는 아니지만 자주 보는 편입니다. 공포게임도 여러 작품을 해봤는데 그중에 생각나는 게임도 있군요. 바로 국산 게임인 화이트 데이 입니다!! 아주 놀라운 게임이였습니다. 그렇게 3D 환경에 적응하기가 힘든 게임은 처음이였으니까요. 조금 플레이하다가 꺼버린 이유가 무서워서가 아니라 토할것 같아서 였습니다. 국산 '왕 리얼 엔진'이라는 3D 엔진으로도 유명하지요? 혹자들은 배경에 흐르는 국악의 느낌이..
"FOCUS ON CONTRIBUTION" The focus on contribution is the key to effectiveness: in one's own work (its content, its level, its standards, and its impacts) in one's relations with others (with superiors, associates, subordinates), and in the use of the tools of the executive such as meetings or reports. The great majority of people tend to focus downward. They are occupied with efforts rather than..
나온지는 좀 된 동영상 입니다. 워크래프트라는 게임을 접한지가 정확히는 모르겠으나 어언 10년은 되 가는군요. 리치킹이 되는 것 까지가 워크래프트의 내용이고, 리치킹이 되버린 아서스를 잡는게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내용이지요. 그 종착역이 다가옵니다. 궁지에 몰린 리치킹 아서스에게 유령들이 떼거지로 나타나서 괴롭히는 내용이지요. 그 위엄에 찬 리치킹이 역시 쪽수한테는 안되는 것을 보여주면서 몰리지만, 마지막 대사가 멋지군요. 챔피온(롤플레잉 게임에서는 영웅보다는 상급 존재)들이 몰려온다(?)는 대사에 "그렇다면 들어오게 하라, 서리한이 굶주렸다!" 올테면 와보라는 것이지요. 이제부터는 스포일링 입니다. 여기부터는 종착역이지요. 위의 당당한 리치킹 께서 드디어 쓰러지셨군요. 10년간 집착과 번뇌가 일순 사..
어린 시절 오락실에 놀러가는 것은 저의 중요한 일과중에 하나 였습니다. 안 좋은 곳이고 타락의 온상이라는 부모님의 온갖 박해에도 광명(?)을 향한 저의 의지는 전혀 사그라 들지 않았습니다. 그 어린 시절 온 갖 어려운 난이도에도 불구하고 게임을 동전 한개로 깨는 경우는 '원 코인 클리어' 라는 되지도 않는 영어로 부르면서 깨는 사람은 동네 오락실의 영웅이였습니다. 특히 마계촌은 더욱 그래했는데요, 워낙에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저 또한 그 어려움을 극복하고 동전 한개로 깼기 때문에 동네에서 '고수' 소리를 들으며 다녔었는데 이 동영상을 보고 좌절 했습니다. 동영상 가서 보기 사람이 아니더군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