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Tip (73)
Dharma
.Emacs 파일에 (setq mac-option-modifier 'meta) 를 추가해 주면 됩니다.
기존에 아쿠아맥스 (Aquamacs) 를 이용하다가 카본 이맥스 (Carbon Emacs) 로 바꾸면 제일 먼저 당면하는 문제가 한영 전환입니다. 이래 저래 알아보니 카본 이맥스는 오에스의 한영 전환방식을 따라가더군요. 그래서 더욱 맘에 들었습니다. 그래서 한영 전환키가 디폴트로 (Cmd+Space) 키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Shift+Space 로 바꿔야 겠더군요. 잘 정리된 분의 블로그 (Jiyoon Jang) 에 있는 글을 링크합니다. 원문보기(클릭) 요약하자면 ~/Library/Preferences/com.apple.symbolichotkeys.plist (개인) /Library/Preferences/com.apple.symbolichotkeys.plist (전체사용자) 를 열어서 AppleSym..
다소 제목이 길어졌지만 왜 이런 글을 쓰게 됐는지 설명하고자 합니다. 저는 94년도부터 한영 변환은 어떤 OS 에서든지 Shift+Space 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단 하나의 예외가 있다면 빌어먹을 OSX 에서만 Command + Space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윈도 , 우분투에서는 Shift + Space ) 입니다. 우분투 11.04 에서는 iBus 가 기본 입력기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영 변환을 Shift+Space 로 변경해줬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Emacs 에서 사용하는 한영 변환하고 겹쳐서 시스템의 한영 변환이 먼저 일어납니다. 그렇다고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Ctrl+Space 로 지정해 주자니 , Emacs 에서 영역 지정하고 겹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sudo m..
막상 설치하고 나면 세벌식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몰라서 헤매게 됩니다. 그냥 터미널 실행하시고 /usr/lib/ibus-hangul/ibus-setup-hangul 입력하시면 한글 입력방식 설정하는 창이 뜹니다. 원하시는 입력방식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별로 어려운 것도 아니지만 방법을 글로 남깁니다. 'System Preference' 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공유' 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나오는 화면에서 '인터넷 공유'를 켜줍니다. 그러면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 나옵니다.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를 연결해서 사용할 것이니까 공항(AirPort)로 설정해 줍니다. 이렇게만 설정해 주면 끝입니다.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에서 무선 인터넷 고르는 부분을 가 보면 방금 설정해 준 무선 공유의 이름이 보입니다. 바로 선택해주고 연결해주면 바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OSX 나 우분투를 사용하다보면 윈도에서 꼭 없는 아쉬운 것중의 한가지가 바로 가상화면 관리자이지요. 그래서 윈도7 용 을 찾아봤습니다. 다운받기 설정도 쉽고 듀얼모니터까지 체크해서 동작합니다.
RedHat Linux kernel 2.4.9 에서 JDK 1.4.1_01 과 JDK 1.4.2_05 버젼을 돌릴때 보안 모듈에서 버그가 있습니다. Java 의 Secure Random 에서는 SSL 라이브러리를 쓰는데 이것에 버그가 있는 것입니다. $JAVA_HOME/jre/lib/security/java.security 파일을 열어서 securerandom.source = file:/dev/random 을 securerandom.source=file:/dev/urandom 으로 수정해 주면 됩니다.
순정이든 , 반탈한 기종이던 간에 원클릭으로 완벽하게 탈옥 시켜주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아무리 아이패드라 해도 오래 사용하다 보면 결국 리붓을 해 줘야만 하는 시점이 다가 옵니다. 그럴때 반탈이면 여러모로 귀찮아 지지요. 그러던 와중에 드디어 원클릭으로 탈옥을 시켜주는 툴이 릴리즈가 됐습니다. (사실 조금 됐습니다. 제가 요즘 바쁜 관계로..) 1. 그린 포이즌 다운 받기 (클릭) 일단 그린포이즌을 자기가 사용하는 OS 종류에 맞게 다운 받습니다. (저는 Mac 으로 다운 받았습니다) 다운 받고 압축을 풀고 나온 실행 파일을 실행합니다. 2. "JailBreak" 버튼을 클릭합니다. 클릭 전에 잘 읽어보시면 클릭하고 나서는 DFU 모드에 진입 시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화면에 나온대로 실행해 줍..
콘솔라스(Consolas)는 영문 전용 폰트기 때문에 한글을 표시할 때 시스템이 기본으로 선택한 바탕체를 연결합니다. 이 기본으로 나오는 바탕체를 '맑은 고딕'체로 바꾸는 작업에 관한 글 입니다. 예전 콘솔라스(Consoals) 관련 포스트 콘솔라스 - 프로그래밍에 좋은 폰트 (클릭) 콘솔라스 - 실제 폰트 적용한 모습(클릭) 콘솔라스 - 크롬에서 쓰이는 폰트를 맑은 고딕과 콘솔라스로 설정하기 (클릭) 1. Regedit 실행합니다. - '윈도'키를 누르고 '실행(XP)' 이나 '검색 (Win7)' 에 'Regedit' 입력합니다. 2. Registry 에서 다음과 같은 위치를 찾습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OSX 에서 별다른 프로그램 설치 없이 쉽게 NTFS 파티션(partition)을 읽고 쓸 수가 있습니다. 기본으로 OSX 에서 Read - Write 하게 하면 좋을 텐데 꼭 이렇게 귀찮게 만듭니다. 1. Terminal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2. 'diskutil info /Volumes/(볼륨 이름)' 을 터미널 (Terminal)에서 입력합니다. - (볼륨 이름) 은 현재 쓰이고 있는 볼륨 파티션의 이름입니다. - 보통 'BOOTCAMP' 일 것입니다. 3. 2번 과정에서 나온 내용중에서 'Volume UUID' 값을 복사해 둡니다. - 'File System' 이 NTFS 인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4. 아마도 /etc/fstab 에 별다른 작업을 안해 주셨다면 /etc/fstab.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