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tutorial (3)
Dharma
https://www.gnu.org/software/emacs/manual/html_node/eintr/ 에 관련된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잘 모른다고 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쓰여졌다고 하는데, 제 생각에는 '글쎄요' 입니다. 물론 이 걸 보고 고수가 된 비전공자가 존재한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입니다. 필리핀 인가 싱가폴에서 사는 처자인데 Emacs 의 org-mode 에 반해서 Emacs 를 배우고 Emacs Lisp 프로그래밍까지 잘하게 된 전설적인 케이스가 있습니다. 제대로 Emacs 를 쓰기 위해서는 한번 읽어볼 만은 하지만.. '글쎄요...' http://ergoemacs.org/emacs/elisp.html 차라리 실용적으로 배우실려면 위의 링크를 추천드립니다. 온갖 간단한 실용..
Node.js 와 Node.js 를 잘 활용하기 위한 웹 프레임워크까지 쭈욱 따라하기 식으로 하루만에 쫓아갈 수 있는 훌륭한 튜토리얼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비록 영어이긴 하지만 신기술은 번역되어 있는 것을 구하기 힘드니 여기서 쭈욱 따라가시면서 이해만 하시면 충분히 node.js 로 바로 웹 사이트 하나 만들 수 있는 실력을 구비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Node.js 설치하기 는 예전 제 포스트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기본 (The Basics) (1-2 시간 소요) The Node Beginner Book 기본적인 문법과 Asynchronous 코딩에 대한 기본을 설명해주고 있는 훌륭한 책입니다. 정말 쭈욱 따라하시면 됩니다. 더 깊게 들어가기 (Going Deeper) (1 시간 소요) chapter7..
무엇인가를 해 볼려면 역시 설치부터!! 정말 하둡 초 간단 따라하기 식 설치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시작전에 환경세팅이 필요합니다. 어떤 OS 기반위에 설치할 것인가를 정해야 하는데 저는 그냥 리눅스로 정했습니다. 환경세팅자체도 쉽고 하둡도 리눅스를 추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가장 최근에 릴리즈된 우분투 11.10 (Ubuntu 11.10) - 다운로드 페이지 로 정했습니다. 하둡 설치 형태는 3가지로 나뉩니다. 1. StandAlone - 하둡 파일 시스템을 띄우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만 테스트 해 볼 수 있는 상태이다. 2. Pseudo Distribution - 하둡 파일 시스템을 구동시키고 한 컴퓨터에서 모든 데몬들을 띄워서 동작하는 것을 테스트 해볼 수 있는 상태 3. Clu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