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weblocks (4)
Dharma
Weblocks 로 Web Programming 을 하다보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Tag 들이 보기 싫을 때가 있습니다. 자동으로 만들어 주면서 관련된 javascript, stylesheet 를 연결해서 최소한도로 손을 안대도 코딩이 되게 할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서 편하기는 한데, 공부를 하는 차원에서는 이 태그 저 태그 붙어서 정신 없는 것보다 깔끔하게 내가 원하는 만큼의 HTML을 생성하는 것이 여러모로 편리할 때가 많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알아보기로 하지요. http://uint32t.blogspot.com/2008/01/weblocks-starting-with-blank-slate.html 조금 예전 자료긴 하지만 충분히 참조할 만합니다. 자동으로 붙어 나오는 tag 는 page-wrapper , p..
드디어 저를 괴롭히던 가장 큰 문제가 해결 됐습니다. -0- Weblocks 를 쓰면서 대체 이걸 어떻게 하는 걸까? 하고 고민 했던 것이 /pub/images 말고 딴곳에 있는 image 파일 access 하는 방법이였습니다. 예를 들면 /pub/images/photos/bassist.jpg 를 화면에 출력하고 싶을 때, 대체 어떻게 하는지 모르는 것이였습니다. 워낙 쉬운거라 Example 이나 Tutorial 에 없는 것이겠지요? 개발되어지고 있는 소스 자체를 뒤져서 알아냈습니다. 핵심은 make-webapp-public-file-uri 라는 이름의 함수였습니다. (defun make-photo-page () (make-widget (lambda () (with-html (:p :id "index" ..
Weblocks 는 리습으로 된 프레임 워크 입니다. 멋지고 편리한 개념으로 무장하고 있지만 리습이라는 언어 자체가 가지는 비 인기성으로 널리 퍼지지는 않았습니다. 그래도 몇가지 편리한 기능들이 있어서 주목하고 있는데, 그중에 대표적인 기능이 Widget 개념입니다. 모든 웹 컴포넌트를 widget 으로 만들고 그 widget을 엮어서 웹 페이지를 만들게 하는 것이지요. 자세한 매뉴얼이나 공식적인 튜토리얼등 형식을 취하는 것이 몇개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문서가 많이 부족합니다. 게다가 lisp 자체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합니다. (CLOS 같은 것에 대한 지식) 더구나 저는 Web 도 잘 모르는 판국이라 여러가지로 배우기가 힘들지만 한개씩 한개씩 정복해 나가는 재미가 있습니다. 설치하고 웹 프로젝트 만들고..
무지하게 힘들었습니다. -ㅅ- 아직 개발하는 중이라서 어떻게 하면 좋다 라고 하는 부분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아서 삽질에 삽질을 하다가 겨우 알아냈습니다. weblocks 템플릿을 이용해서 만든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이 temp-cloud 라고 가정하면 temp-cloud 디렉토리 바로 밑에 존재하는 temp-cloud.lisp 파일을 열어서 (defwebapp temp-cloud :prefix "/" :description "temp-cloud: A new application" :init-user-session 'temp-cloud::init-user-session :autostart nil ;; have to start the app manually :ignore-default-dependencies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