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vn (9)
Dharma
한동안 Subversion 을 돌아보지 않았더니 (사실 게을러서 예전에 설치한 버젼을 그냥 쓰는 주의라서..) 많은 변화가 있더군요. 먼저 서브버젼이 아파치쪽으로 이동한 듯 보이더군요. 바뀐사이트 : http://subversion.apache.org/ 아마도 1.7.x 대부터 변경된 듯 합니다. 따라서 예전에 제가 작성한 패치는 전혀 동작하지를 않게 바꼈더군요. 그래도 혹시나 예전 버젼 (1.6.x) 을 사용하신다면 예전 포스트 를 보시고 따라하시면 되실것입니다. 설치환경 OSX Lion 이 설치되어 있고 Mac Port 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따라서 Mac Port 가 설치되어 있다고 하면 Command Line Tool 이 설치 되어 있다고 봐야 합니다. 또한 Command Line Too..
최근에 다시 피씨를 세팅할 일이 생겨서 (Windows 7) EmacsW32 최신 버젼과 서브버젼 (Subversion) 최신 버젼을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어찌된 일인지 갑자기 잘 되던 SVN 과 Emacs 의 연동이 안되더군요. 그래서 여러가지 방법을 시도하던 와중에 문제점을 발견했습니다. 디렉토리 구조중 최상위 (Root) 를 제외하고는 .svn 폴더들이 전부 사라진 것이였습니다. 이것도 모르고 Emacs 를 버젼별로 깔아대는 삽질을 하고 있었습니다. 결국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한 svn 개발팀에서 하위 디렉토리의 .svn 폴더들을 삭제하는 결정을 한 것이겠지요. 따라서 엄한 emacs 사용자들만 야단이 났습니다. 지금 릴리즈 되는 버젼들에는 저 변동사항이 적용이 안 되어 있기 때문이지요. 해결 방법은 ..
간단한 파일하고 설정만으로 매킨토시 컴퓨터에 SVN 서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저장소 만들기 mkdir /Users/crazia/svn cd /Users/crazia/svn svnadmin create super_ultra chown -R www:www /Users/crazia/svn/* svn 레파지토리가 될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svnadmin 을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지금 보여지는 예제로는 super_ultra 가 되겠군요. 그리고 chown 을 이용해서 www:www 로 바꿔줍니다. 2. 설정파일 만들기 sudo emacs /etc/apache2/other/svn.conf -- svn.conf -- LoadModule dav_svn_module /usr/libexec/apache..
Ubuntu version - 10.04 LTS 루시드 링스(Lucid Lynx) svn (뿐만 아니라 다른 소스 관리 툴)은 개발자 끼리 협업을 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혼자서 연습 삼아서 개발한다고 해도 꼭 익혀야만 하는 개발자들만의 프로토콜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글은 우분투에 svn 서버 버젼을 세팅하는 데 관련된 팁입니다. 집에서 혼자 연습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소스 레파지토리(Source Repository)를 쓰는 버릇을 들이는 것이 여러모로 좋습니다. 어쩌다가 외부에 나가서 협력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때 태연하게 '그냥 혼자 개발해서 합칠때 zip 으로 압축해서 한명이 합치면 되는 거지 뭘 귀찮게 그런걸 쓰나요? ' 라는 충격적인 질문을 받을 때가 많습니다. 중소기업 대기업을 가리지 않고..
snow leopard 의 세상이 왔습니다. EDITED: 온지는 한참 됐습니다.... 예전 글 갱신한 것이라서요 진짜 왔는가는 별도로 하고 배달된 스노우 레오파드를 깔아줬습니다. 저는 맥빠가 아니니 표범 그려진 껍데기 보면서 하앍거리는 일은 전혀 없었구요 기존의 깔려 있는 osx leopard 위에 걍 덮어서 씌웠습니다. 처음에는 별 감흥없이 돌아가더군요 메뉴바 같은게 바뀐거 같긴 한데 잘 모르겠고 암튼 그냥 새로운 '맥'이겠거니 하고 사용하고 있었는데 결국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svn 이 깔리면서 기존에 제가 패치해둔게 동작을 안하더군요. 스노우 레오파드가 되면서도 그 문제 많은 utf-8 문제를 해결을 안했더군요 (아마 영원히 안할듯 싶네요..) 그래서 깔려있던 subversion source 를 ..
연일 맥을 가지고 놀다 보니 발견하게 되는 개발 환경과 작업 환경 세팅시의 문제점들이 발견 되는 군요. 저는 Emacs 로 텍스트 파일들을 작성해서 svn repository 에 보관을 합니다. 그렇게 집 , 회사 , 노트북 세가지를 동기화 시켜왔는데 이제 osx 를 사용하다 보니 첨 쓰게 되는 환경에 당황하게 되는군요. 너무 쉽게 됐던 것들이 안되니 참으로 난감하기도 하고 -ㅅ-; 암튼 구글링 저헐라게 하다가 우연히 알게 되는 사실로 해결이 되는 군요. .emacs 에서 한글을 쓰기 위해서 세팅하는 과정입니다. (set-language-environment "Korean") (set-terminal-coding-system 'utf-8) (set-keyboard-coding-system 'utf-8) ..
osx 를 사용할 때, svn 을 사용해서 소스나 레파지토리에서 파일을 check out 을 하게 되면 영문 파일들은 잘 내려받고 서버와 동기화도 잘 되는 반면 한글 파일명을 가진 파일들은 오동작을 일으킵니다. 쉽고도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한데 svn st 라고 입력을 하면 분명히 방금 checkout 을 한 경우라도 같은 파일이 레파지토리에 추가가 안되어 있다고 나옵니다. 이 문제는 osx 에서 쓰이는 utf-8 방식이 svn 과 달라서 발생하는 문제라고 합니다. 계속해서 reporting 되고 있는 문제긴 하지만 subversion 측에서 적용을 안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최초 발생과 패치를 일본 프로그래머가 내놓은 시점이 1.4.4 버젼이였는데 현 버젼인 1.6.5 까지 아무런 적용이 안되고 있는 것..
애플 터미널에서 한글 파일을 저장해서 svn에 올리면 제대로 올라가지만 그 파일을 윈도우에서 내려받아서 사용하면 글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즉 제가 Mac OS 상에서 '해킹토시.txt' 라고 파일을 만들어서 svn 에 추가하면 잘 올라가지만 레파지토리상에서는 더미와 비슷하게 존재합니다. 따라서 windows 에서 그 파일을 받아서 보면 'ㅎㅐㅋㅣㅇㅌㅅㅣ.txt' 라는 이름으로 한글 자소가 분리된 형태로 파일이 받아집니다. 파일 지울때 rename 을 해줘야 하며, svn 레파지토리 관련 명령들도 잘 먹지 않습니다. 해결할려면 사용자 계정에 홈 디렉토리에 .inputrc 파일을 만들고 set convert-meta off set meta-flag on set output-meta on 이렇게 적어주..
기존의 svn 과 연동해서 작업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즉 기존의 소스를 가져오는 방식은 svn up svn://wiki.nully.co.kr/source 이런식으로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 방식은 ccnet 과 ccservice 방식에서 전부 동일하게 돌아갑니다.. 문제는 svn up https://wiki.nully.co.kr/source 방식으로 가져오는 것이 문제인데 (즉 SSL을 통해서 소스를 가져오는 경우) 이는 인증서를 가져오는 문제가 있어서 에러가 발생하는데 , 프롬프트가 나오기 때문에 기존의 프로젝트를 돌리는 사용자와 서비스가 돌아가는 계정이 불일치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그래서 기존의 Cruisecontrol.NET 서비스를 사용자를 프로젝트를 구동하는 유저로 로긴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