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AWS (4)
Dharma
요즘 왠만한 웹 서비스를 만들어서 런칭을 하는 경우에도 https 를 감안해야 합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AWS) 에서 서비스 만들어서 런칭을 할 때도 마련해두면 편하게 작성할 수 있을거 같은 교과서적인 튜토리얼을 발견해서 첨부합니다. 비록 설명은 자바 기반이지만 웹서비스에 대해서 어느정도 관심 있는 분이라면 필히 자신이 쓰는 플랫폼으로 변경해서 적용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https://goo.gl/1guuCC
Elasticsearch 설정하기 드디어!! AWS 에 있는 Elasticsearch 서비스에 은전한닢 플러그인이 추가 됐습니다. 예전에는 이런 기능이 없어서 제가 따로 elasko 라고 은전한닢에 패치된 형태의 엘라스틱서치의 도커 형태를 만들었습니다. 이제 시간이 지나서 elasticsearch 6.0 이 나오고 (제가 만든 elasko 는 5.5 기반) 문법도 많이 바뀌고 해서 다시금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Elasticsearch 편하게 쓰는걸 원하신다면 AWS 에 있는 서비스 추천입니다. 기업 서비스용이라면 100% 추천입니다. kibana 까지 이용하실려면 vpc 가 아닌 ip 기반으로 관리를 선택하세요 그러나 가난한 개인 개발자라면 한달에 EC2 가격만 해도 부담이 되겠지요. 이 글은 가난한..
일단 http://crazia.org 입니다. 별거 아니지만 누르고 들어가면 https://crazia.org 로 바뀝니다. 정말 너무 일반적인 형태의 웹사이트로 보이지만 나름 최신 기술들로 잘 버무려져 있습니다. http2 도 지원함 ㅋㅋ 1 AWS 의 Certificate Manager 를 이용해서 SSL 인증서를 발급 받았습니다. 혁신적이죠. 기존에는 항상 싼 SSL 인증서를 사서 사용했는데, 여기는 클릭 몇번으로 공짜로 인증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AWS 의 ELB (Elastic LoadBalancer) 를 사용하고 ELB 에 인증서를 포함시켰습니다. 기존에는 NginX 에 인증서를 포함시키는 방법을 썼는데 이제는 이렇게 하는게 편하더군요. 알아서 갱신까지 해줘서 설정만 해주면 문제 없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서 자체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은 이제 흔한 일이 됐습니다. 저는 처음 클라우드가 만들어졌을 때 대체 이걸 어떻게 상용화 할까? 라고 생각했지만 무엇인가를 팔고 이윤을 남기기 위한 인간의 욕망을 무시하면 안된다는 것을 잘 알게 됐습니다. 그렇다면 클라우드의 종류인 IaaS (Infrastructure-as-a-Service) 와 PaaS (Platform-as-a-Service) 와 SaaS (Software-as-a-Service) 는 어떻게 차이가 있는가? 위 그림에서 가장 쉽게 이야기 해주고 있습니다. IaaS 는 Host에 주안을 두는 것이고, PaaS 는 build 에 주안점, SaaS 는 consume 입니다. 이보다 더 자세하고 명확하게 알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