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학의 지식인이라고 불리우는 사람이 수많은 교수님 출신의 지식인들을 압도하며 사회 현상을 주도하고 있습니다.또한 아마츄어들이 나오는 오디션 프로그램에 전 국민적인 관심이 모아지며 그들의 행동 하나 하나가 기삿거리로 변하고 있습니다. 심지어는 이미 스타로 알려진 존재들도 그 아마츄어들의 팬이라고 자처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조금 지나긴 했지만 정성하 라는 아마츄어 기타리스트는 국내 유수의 프로들을 제치고 세계적인 수준에서 반응이 있는 기타리스트가 됐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비록 단편적인 상황이지만, 사회 전반에서 아마츄어와 프로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는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1인 미디어나 1인 출판등,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들이 사회적 공감대를 이끌어 내면, 순간적으로 유명해 질 수 있는 세상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도 어느 순간 갑자기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닙니다. 꾸준히 준비하고 노력하는 과정중에서 기회가 갖춰져야 합니다. 즉 쉽게 말하자면 항상 프로가 될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들이 아마츄어에서 바로 프로가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대체 프로와 아마츄어의 차이가 무엇이냐? 정말 여러가지 답변들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한 것들도 모두 맞는 말이겠지만, 이에 대해서 오래 생각해온 제 견해로는

"돈과 일에 대한 진지함"

이라는 말로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겠습니다. 즉 프로는 일을 하는 것에 있어서 금전적인 보상과 일에 대한 진지함이 남 다르다는 것입니다.

자신이 어떤 일을 매우 좋아하고, 그것에 수많은 시간을 쏟아서 정말 잘할 수 있다고 해도, 그것으로 인하여 어떤 금전적 보상이 존재하지 않는 다면, 프로가 아닌것입니다. (물론 제 견해입니다)
반대인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이 경우가 주변 분들의 절대적인 대다수를 차지합니다. 금전적인 보상을 받지만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서 어떤 전문적인 지식을 갖출 생각도 없고, '그냥 월급을 주니까 일을 한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역시 프로가 아닙니다.

비슷한 직종에 있더라도 남들하고 차별이 되어야 하고 - 더 잘한다는 의미와는 다릅니다 , 차별 입니다. 물론 더 잘한다는 뜻이 차별점 안에 들어 있긴 합니다. - 이러한 차별점을 가지게 되는 방법은 무엇보다도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진지함' 입니다. 또한 진지함을 갖는다고 해서 바로 남들하고 차별점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긴 시간을 두고 계속해서 진지함으로 일을 대하다 보면 쌓이는 것이 차별점 입니다.

좋아서 진지하게 하는 일이라면 , 그 일을 바탕으로 수익을 얻을 방안을 고려해 보시고 아니면 돈을 받으며 회사원으로서 살아간다면 , 하는일에 전문적인 지식을 쌓거나 자신이 애착을 가지고 잘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로를 결정하며 자신의 모든 업무 관련 부분을 정리하면서  진지하게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

누구나 다 프로가 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서 '프로'가 되고 싶어 한다면 '진지함'을 바탕으로 '금전적 인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노력할 필요는 있을 것입니다.



처음 부분밖에 안 읽었지만 그 책에서 말하는 것은

"프로 블로거"로 먹고 살려면 하루 12시간씩 투자하여 글을 50개 가량 쓸 수 있는 노력을 기해야 한다.

라는 것입니다. 프로 블로거는 커녕 파워 블로거도 못되는 저로서는 마음을 굳히게 되더군요.

"하지 말자.."

그리고 예전에 유행했던 유머가 생각이 나더군요.

"프로 블로거가 될려면 진짜 열심히 글을 써야 하는거 같아"
"난 열심히 글을 안쓰잖아?"
"아마 안될꺼야"

다시금 느끼게 되는 거지만, 무엇을 하던지 간에 참 먹고 살기 힘들구나.. 라는 것입니다.

컥! 이 절정의 간지!! 불멸의 명민본좌!!

NOTOO

뭐 요즘 너무 유명한 드라마 이기도 합니다. 제가 좋아하는 배우가 나오기도 하구요. 또 멋진 연기로도 유명하시죠 +ㅂ+

김명민이라는 배우는 정말 '프로' 라는 말로 모든 것이 설명되는 사람입니다. '하얀거탑' 때는 차승원 씨의 대타였다고 하지요? 대타였는데 그리 멋진 연기를.. 이번의 '베토벤 바이러스' 에서도 원래 맡고 싶지 않은 배역이였다고 하시는데, '하얀거탑'의 악역과는 묘하게 다른 연기를 보여주는 것은 진정한 프로라 할만합니다.

그와는 별도로 '베토벤 바이러스' 라는 말을 처음 접한 것은 'Pump it up' 이라는 리듬 게임에서였는데 원래는 '비창 3악장' 이라고 하네요. 제가 접한 게임에서는 그곡을 편집 한 것이고요. 다시 듣고 싶어서 검색하다 보니 위와 같은 동영상이 나오네요.

디아나 본체바(Diana Boncheva) 라고 불가리아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 네요. 중간 중간에 보이는 게임기가 펌프 게임기 입니다. ㅎㅎ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