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폰트 (11)
Dharma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서 변하지 않는 것이 없거늘 어찌 Emacs 가 변하지 않으리라 생각했던가.. 말 그대로 입니다. 세월이 흘러 흘러 Emacs 가 24.x 대가 나오기 시작한지도 꽤 여러해가 지났습니다. 그런데 저는 과거의 설정파일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더군요. 문제 없이 사용하고 있었던 이유는 최근 쓰고 있던 OSX 가 버젼업이 되면서 한글 '나눔고딕'이 기본으로 포함되서 별 의도하지 않게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최근 Clojure 에 관한 Online 책을 보다가 그 저자가 설정한 Emacs 설정파일을 제꺼에 포함시키는 과정에서 기본 폰트 크기를 변경시키는 로직이 있는데 제가 처음 보는 함수를 쓰고 있더군요. 찾아보니 제가 기존 설정파일에서 쓰고 있었던 폰트 설정 방법은 사라졌더군요. 즉 예전의 폰..
아래와 같이 파일을 열어서 $ emacs ~/.Xresources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해 줍니다. Emacs.font: Consolas-12 emacs.FontBackend: xft 그리고 다음과 같이 터미널에서 입력해 줍니다. $ xrdb -merge ~/.Xresources 우분투에 Consolas 폰트를 설치하는 방법은 예전 포스트 에서 참조하세요. EDIT: 2014-02-04 위 방법은 민트 리눅스 (Mint Linux) 마야 (Maya) 버젼에서도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저는 터미널 (Terminal) 에서 작업을 많이 합니다. 민트를 깔아보고 놀랐던 이유가 터미널 프로그램이 이뻐서 였습니다. 그래서 기본 설정이 '흰 바탕에 검은색 글씨' 였는데 바로 '검은색 바탕에 회색 글씨' 로 바꾸어 줬습니다. 역시 검은색이 마음이 안정된다고나 할까요? 그랬는데 한글 언어팩을 설치하고 났더니만 터미널 상에서 한글이 정말 보기 싫게 변하더군요. 그래서 나눔고딕 폰트를 설치해주고 (저번 아티클 참조) /etc/fonts/conf.d/69-language-selector-ko-kr.conf 를 열어서 monospace Dejavu Sans Mono NanumGothic 위와 같이 추가해 주면 됩니다. (정확히는 이미 되어 있는 것을 변경해 주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렇게 나눔고딕 형태로 ..
이맥스 (Emacs) 에서 영문 폰트는 기본적으로 지정해 줄 수가 있습니다. 한글하고 일어 한문은 지정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이 가장 쉬운듯 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EDIT: 나눔 고딕 폰트 설치를 위해서 먼저 나눔고딕 폰트를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겠지요? 나눔고딕 페이지 이동 osx 10.6 (SnowLeopard) 테스트 클라이언트 (Client) : Aquamacs 2.1 이고 .emacs 파일에 다음과 같이 써 주면 됩니다. (set-fontset-font "fontset-default" '(#x1100 . #xffdc) '("NANumGothicCoding" . "unicode-bmp")) ; (set-fontset-font "fontset-default" '(#xe0bc . #xf..
이렇게 저렇게 해도 콘솔라스 폰트를 구하기 어려울 때를 대비해서 올려둡니다.
예전의 복잡했던 방법에서 탈피해서 MS 의 CoreFonts 들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열렸습니다. 너무 쉬어서 쓰기도 부끄럽군요. 우분투 (Ubuntu) 11.10 에서 테스트 했습니다. "Oneiric Ocelot"(몽환적 시라소니) 라고도 하지요. $sudo apt-get install cabextract 로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제 경우에는 이미 설치되어 있더군요. 그리고 스크립트를 한개 만듭니다. vista-fonts-installer.sh 로 만들어 줬습니다. 다음은 그 파일에 저장될 내용입니다. #!/bin/sh # Copyright (c) 2007 Aristotle Pagaltzis # # Permission is hereby granted, free of charge, to an..
콘솔라스(Consolas)는 영문 전용 폰트기 때문에 한글을 표시할 때 시스템이 기본으로 선택한 바탕체를 연결합니다. 이 기본으로 나오는 바탕체를 '맑은 고딕'체로 바꾸는 작업에 관한 글 입니다. 예전 콘솔라스(Consoals) 관련 포스트 콘솔라스 - 프로그래밍에 좋은 폰트 (클릭) 콘솔라스 - 실제 폰트 적용한 모습(클릭) 콘솔라스 - 크롬에서 쓰이는 폰트를 맑은 고딕과 콘솔라스로 설정하기 (클릭) 1. Regedit 실행합니다. - '윈도'키를 누르고 '실행(XP)' 이나 '검색 (Win7)' 에 'Regedit' 입력합니다. 2. Registry 에서 다음과 같은 위치를 찾습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크롬에서 보이는 글들을 '맑은 고딕'과 고정폭은 'Consolas' 를 이용해서 웹 컨텐츠의 가독성을 높이며, 이뻐보이는 화면으로 인한 만족감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먼저 폰트를 받아야 하겠지요? (Windows7 을 사용하는 분은 이 부분 패스) 콘솔라스 (Consolas) 폰트 받기 (클릭) 맑은 고딕 폰트 받기 (클릭) 맑은 고딕 폰트는 윈도즈 XP 정식 사용자여야만 합니다. 정품 인증을 하기 때문이지요. 정품이 아니시라면 구글에서 '맑은 고딕 다운로드 (클릭)' 로 검색하시면 받을 수 있는 사이트가 주르륵 뜹니다. (어둠의 세상 만세!!) 1. 크롬에서 그림에 보이는 연장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옵션 을 클릭합니다. 3. 고급 설정 탭을 클릭합니다. 4. '글꼴 및 언어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뒤에 희미하게 보이는 '설표'의 윤곽이 있습니다. 에디터는 Aquamacs 씁니다. 폰트 크기는 17pt 이고 Anti-Aliasing 은 줬습니다. 안 주면 너무 빈한해 보이더군요. 콘솔라스 (Consolas) 관한 설명과 얻는 방법 (클릭)
코딩에 좋다는 10가지 폰트를 다 써봤지만 개인적으로는 Consolas 를 추천합니다. 그 미묘하게 휘어지는 곡선의 느낌이 참 좋습니다. -ㅅ-... 일단 폰트 모습입니다. 프로그래밍 하루 이틀 해온 것도 아니고, 앞으로도 수도 없이 할 것 같은데요. 기분 좋게 생긴 폰트를 가지고 작업을 하면 여러모로 기분이 좋습니다. OSX 에서 Monaco 폰트를 썼는데 이 폰트 알게 된 후로 전부 다 수정하고 있습니다. 단 단점이라면 우분투를 버추얼 박스(VitualBox)에서 돌리고 있는데 거기서 기본 폰트로 쓰기에는 크기가 안 맞더군요. 17 pt 까지 크기를 키워야지만 이쁘게 보입니다. ClearType 폰트는 하드웨어 가속이 되야지만 작을 때 이쁘게 보이는 건갈까요? 폰트 확인(클릭) 이거 저거 직접 타이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