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우분투 (20)
Dharma
우분투 13.04 버젼을 설치하고 나니 기존에 12.xx 버젼에서 발생했던 문제가 그대로 있더군요. 기존의 문제는 xrdp 를 설치하고 외부에서 원격 데스크탑 (Remote Desktop)을 이용해서 접속해서 작업을 할 때 'd' 키를 누르면 모든 화면이 태스크바로 사라지면서 바탕화면이 나오는 문제 입니다. 이거 때문에 작업이 힘듭니다. ( cd , sudo 등 d 자 들어가는 유닉스 명령이 얼마나 많습니까? ㅎㅎ) 해결 방법을 찾아내서 정리해서 올립니다. 1. ccsm ( compizconfig-settings-manager ) 을 설치해 줍니다. $ sudo apt-get install compizconfig-settings-manager 2. ccsm 을 실행시켜 줍니다. $ ccsm 3. 왼쪽 탭..
예전 포스트 에서 해결하는 방법을 올렸지만 unity-2d 랑 gnome-classic 등이 동작 안하는 현상이 13.04에서 발견됐습니다. 새로운 방법을 올리겠습니다. 1. 기존에 쓰여져 있던 .xsession 을 지웁니다. (만약 존재한다면) 2. 다음과 같이 차례로 입력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gnome-session-fallback $ echo "gnome-session --session=gnome-fallback" > .xsession $ sudo /etc/init.d/xrdp restart unity-2d 가 gnome-fallback 으로 바꼈다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카더라 통신입니다만..)
최근에 서버가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내 다시는 LVM 에 데이터랑 OS 를 공존시키지 않으리란 다짐을 하게 만드는 사건이였습니다. 인프라를 다시 갖추는 작업을 한번쯤 정리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아서 정리해봤습니다. 12.04 LTS 버젼으로 설치해 주는 것이 편합니다. 12.10 버젼은 Remote Desktop 으로 접속시 D 를 누르면 발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모든 창이 미니마이즈 가 됩니다) 설치하자 마자 접속하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뜹니다. 이때 '설정'을 눌러서 다운로드 받는 서버를 'ftp.daum.net' 으로 수정해 줍니다. $ sudo apt-get install ssh shell 접속이 가능하게 ssh 관련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줍니다. 특정 망회사는 ssh 기본 포트를..
클로져를 이용해서 웹 어플리케이션 간단한 것을 만들어 보고 싶은 욕망이 있을 것입니다. 만들어 보고 싶은 욕망은 의외로 간단하게 해결이 됩니다. 바로 컴포져(Compojure) 를 이용하면 쉽게 만들 수가 있습니다. 예전 포스트 를 보고 클로져 개발환경이 세팅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compojure 로 만들어진 예제를 다운 받습니다. $ cd ~/work (없으면 만들어 줍니다) $ git clone git://github.com/weavejester/compojure-example.git $ cd compojure-example $ lein deps $ lein ring server 이렇게 하고 좀 오랜 시간을 기다리면 Port 3000 번에 Jetty 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떠 있는 것을 확..
아침에 보니 출시가 됐더군요. 바로 업데이트를 해줬습니다. Penguin 이 될 꺼라는 예상을 했었지만 Pangolin 이 되버렸더군요. (모르고 있었음) 위키를 연결해뒀지만 생긴게 이렇게 생겼더군요. 개미핥기의 일종이래나 뭐라나.. 천산갑이라니 뭔가 이상한 이름이군요 ㅎㅎ
원문은 아래의 URL 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hbase.apache.org/book.html#quickstart 위의 페이지를 살펴보면 간단하게 시작할 수가 있습니다. 영어가 싫은 분들을 위해서 조금 사족을 덧 붙이자면 1. Hbase 를 다운 받는다. http://ftp.daum.net/apache/hbase/stable/ 여기에서 hbase-0.92.0.tar.gz 를 다운 받습니다. 안정화 (stable) 버젼이고, 0.92.0 버젼 입니다. 2. 적당한 곳에 압축을 풀어 준다. $ tar xvf hbase-0.92.0.tar.gz $ cd hbase-0.92.0/ 3. conf/hbase-site.xml 파일을 열어서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hbase.rootdir file:///..
우분투(Ubuntu) 에 자동으로 포함되어 있는 openjdk 와 sun 의 jdk 가 미묘하게 차이가 있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실은 저도 못 느껴본 차이긴 하지만 있다고 합니다. 무엇인가를 개발할 때 특히나 오픈소스(Open Source)를 가져다 쓸 때는 환경 문제가 특히나 중요한데, 지금 할려는 작업이 sun-jdk 를 설치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무지 간단하게 썼지만 막상 sun-jdk 를 설치하는 일은 한줄로 되지는 않습니다. 다섯줄 입니다. $ sudo apt-get install python-software-properties $ sudo add-apt-repository ppa:ferramroberto/java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
$ apt-get install java 로 한방에 끝이 납니다. 그러나 게스트OS 에서 인터넷을 쓸 수 없는 지금은 모든것을 수동으로 깔아줘야 합니다. 다음으로 이동해서 라이센스에 동의 하시고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jdk-6u31-download-1501634.html jdk-6u31-linux-i586.bin 를 다운 받습니다. $ sudo mkdir /usr/java $ sudo cp jdk-6u31-linux-i586.bin /usr/java $ sudo su - 루트 계정으로 변경합니다. # cd /usr/java # ./jdk-6u31-linux-i586.bin # exit 다시 본래 계정으로 돌아와서 $ emacs..
지금 일하는 곳이 버추얼박스 (VirtualBox) 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안잡히게 하는 멋진 보안 환경 때문에 공유폴더를 이용해서 파일을 복사하여 수동으로 설치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GTK 를 써야만 하는 X 를 지원하는 Emacs 는 엄두도 못 내고 , Console 모드로 컴파일 해서 사용할려고 하다가 에러가 발생해서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Emacs (23.4) 를 우분투 (11.10) 에서 수동으로 컴파일 할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make[1]: *** No rule to make target `/usr/lib/crt1.o', needed by `temacs'. Stop. crt1.o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 것임을 알 수가 있습니다. $ gcc -print-file-name=cr..
힘들게 저번 포스트 에서 정리를 했더니 더 쉬운 방법이 있다고 알려줘서 정리를 해 둡니다. (시작할 때 왜 알려주지 않은건가여.. ) 저번과 거의 동일 합니다. 1. 아파치 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apache2 2. 톰캣 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tomcat7 tomcat7-docs tomcat7-admin tomcat7-examples 설치해두면 언젠가는 쓸모가 있으니 한꺼번에 설치해줍니다. 3. 제대로 설치됐는지 확인해보기 http://localhost 와 http://localhost:8080 으로 페이지가 제대로 뜨는지 확인해 줍니다. 만약 페이지가 제대로 뜬다면 apache2 와 tomcat7 은 제대로 설치된 것입니다. 여기까지는 동일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