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블로그 (10)
Dharma
저는 원래 블로그를 시작할 때 다짐한 것이 있었습니다. 바쁘고 힘들더라도 일주일에 최소 3편이상의 포스트를 블로그에 올리겠노라고. 처음에는 열심히 썼습니다! 그러나, 게으름도 습관이라고 바쁨에 핑계를 대기 시작하더니 슬슬 1주일에 한개씩정도밖에 못 쓰게 되더군요. 그러더니 한달에 3-4개 정도 수준으로 꾸준히 5년 이상을 유지했는데 ... 문제는 2015년 말에 발생했습니다. 엄청나게 힘든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된 것이죠. 1개월 반만에 앱 2개와 서버를 만들어야 했습니다. 어느정도 프로젝트에 대한 경험이 있으면 이 일정이 힘들다는 것을 공감할 것입니다. 물론 제가 PM 으로서 조인을 했기 때문에 열심히 일하는 개발자 보다는 시간적 여유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PL 을 겸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 플랫폼에 ..
몇년전에 ROR (Ruby on Rails)이 이슈화 될때의 유명한 ScreenCast 가 생각납니다. '15분만에 블로그' 만들기 였는데, 그 뒤로 새로운 언어나, 새로운 웹프레임워크의 강력함을 설명하기 위해서 항상 블로그를 얼마만큼 빠르게 만들어 낼 수 있는가가 그 척도가 되는 듯 합니다. Node.js도 예외는 아닌듯 싶은데, 실제로도 빠르게 만들어 볼 수가 있으며, 사용하는 사람에게 프로그램을 짜는 즐거움까지 전달합니다. 제가 예전에 정리한 포스트 에서 마지막에 실전 예제라고 소개하는 직접 블로그 만들기에 관한 예제입니다. 소스가 예전 버젼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현행화를 조금 거쳤습니다. 환경 OSX Mountain Lion Node.js v0.8.14 express 3.0.1 jade 0.27...
예전에 죽이는 한마디 서평 에서 썼듯이 제목은 블로그 포스팅에서 70% 이상의 효력을 발휘합니다. 제목으로 인해서 그 글을 읽을지 말지가 거의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런 것들이 사업계획서나 투자계획서 등에도 응용이 되기 때문에 잘 지어진 제목이 얼마만큼 사업하는 사람한테는 중요한지는 다시 언급이 불필요할 정도입니다. (게다가 이후에 나오는 내용은 블루오션 전략과도 어느정도 관련이 있다고 봅니다.) 물론 저도 글을 쓰다보면 자구 자꾸 까먹는 사항이기는 합니다만, 저를 위해서도 다시 한번 정리할 까 합니다. 1. 사람은 새로운 것을 좋아한다? 이 물음에 대한 답은 Yes , No 어느쪽일까요? 정답은 반반입니다. 새로운 것을 좋아한다고 믿고 싶지만 실은 완전 새로운 것이라면 배우기 귀찮아 합니다..
죽이는 말 한마디 로 마케팅 전쟁에서 싸우지 않고 승리하기 저자: 탁정언 글쓰기의 능력이 정말 필요해 지는 시기가 왔습니다. 트위터 블로그 등 자신을 표현해야 할 일들이 누구나 할 것 없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지요. 아무리 상대방에게 호감을 이끌고 싶어서 글을 남발해도 눈쌀을 찌푸리게 만드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가끔가다 한번 쓴 글이 여러 사람에게 호감을 이끌어 내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 차이가 무엇인가? 바로 낚시성 제목입니다. 그냥 낚시성 제목이 아니라 한번 더 생각하게 되는 스토리가 있는 그러한 제목을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블로그 포스팅의 핵심은 제목이다. 라는 예전 포스팅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언급됐었습니다. 이러한 제목을 잘 짓는 방법이 블로그나 트위터 같은 소셜형 미디어 뿐만 아니라, 사업 ..
블로그를 운영할 때 방문자가 많은 것이 당연히 좋습니다. 그렇다면 그런 방문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컨텐츠가 좋아야 하는데, 자신이 쓰는 블로그의 제목이 바로 컨텐츠를 비춰주는 거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번에 올린 '프로 블로거' 포스팅에서 언급을 안했던 부분입니다. 그 책에서 말하는 블로그 포스팅의 중요한 점은 '니치' 블로그 사이트로 만들고 글을 자주 올리되, 일관적으로 올리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포스팅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이 바로 '제목' 이라고 했습니다. 제목은 사람들이 검색했을 때 가장 많이 걸리는 부분이기도 하고, 포스팅의 내용을 미루어 유추할 수 있게 해 줍니다. 결국 자신이 블로그를 돌아다닐 때 어떤 부분에 많이 끌리는 지를 생각해 보시면 블로그 제목을 어떻게 달아야 할지 ..
대런 로우즈.크리스 개럿 지음 우성섭 옮김 요즘같은 트위터 시대에 왠 블로그인가 하실 수도 있겠지만, 이 책은 일반적인 '블로깅'이라는 컨텐츠로 수익을 얻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비지니스적인 것과 비슷하기도 하고 저 같은 엔지니어들은 쉽게 간과할 수 있는 내용들이 글 내용에서 약간은 언급되고 있습니다. 저는 거의 그거 딱 한가지라고 단정지을 수 있는데요. 바로 블로그의 목표에 관한 것입니다. 어떠한 주제로 글을 쓸 것인가에 관한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블로그는 소소한 자신의 일상에 관한 글이라고 여기기 쉬운데요. 프로 블로그 나 파워 블로그가 될려고 하는 사람들은 소소한 자신의 일상만 가지고는 어렵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무엇인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그런 블로그가 되야 한다고..
노는 시간은 줄일 수 없고, 일 할 시간을 쪼개서 블로그를 쓰는 건실한(?) 경영자 였는데, 요즘 일 때문에 블로그 쓸 시간이나 있어? 라는 선배의 말을 절실하게 공감하고 있습니다. 이제좀 열심히 써 볼까 해서 방향도 정했는데, 이 상태로 가다가는 블로그 문 닫아야 할지 모르겠네요. -ㅅ- 문 닫기 싫어서 한번 발악(?) 해 봅니다.
파워 블로거 까지 바라지 않고 , 일정 수준의 사람들이 꾸준하게 방문하기를 원한다면 그정도는 노투를 이용해서 쉽게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 제가 아는 분에게 물었습니다. 블로그 쓰기 힘든 이유가 무엇이냐고. 그랬더니 그 분이 말하길 "백지의 공포증" 이 있다고 하셨습니다. 무엇인가를 쓸려고 블로그 에서 포스팅 하기를 누르면 아무것도 쓸 수가 없어서, 한동안 백지만 바라보다가 꺼버린다고 하시더군요. 노투는 이러한 것을 쉽게 도와줄 수가 있습니다. 생활속에서 살아가다가 문득 글감이 떠오르거나, 갑자기 생각날 때가 있습니다. 처음부터 글로 쓸려고 하면 버거운 그런 것들 .. 보통 영화, 노래, 애니 가 이런 범주에 들기 쉽습니다. 이럴때 노투 (http://notoo.kr) 를 열고 그냥 검색을 하시고 ..
파울로 코엘료 지음 박경희 옮김 두려워해도 됩니다. 걱정해도 됩니다. 그러나 비겁하지는 마십시오 두려움과 마주하고, 근심의 순간을 뛰어넘으십시오. 무언가를 간절히 원하면 온 우주는 당신의 소망이 이루어지도록 도울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 용감하십시오. 의미 있는 것들을 위해 투쟁할 만큼 용감하십시오. 남들이 아닌 바로 '나'에게 의미 있는 그것을 위해. - 파울로 코엘료 - 종교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범신론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결국은 연금술적이라고 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코엘료의 책에 담겨 있는 사상 말입니다. 맑은 날 이른 새벽에 산속을 산책하는 기분이라고나 할까요? 물론 100% 동감 못하는 부분도 있지만 그의 사상에는 대부분 동감합니다. 이 책은 그의 소설이 아니라 산문집입니다. ..
간단한 설치 서버(unix 계열) 일은 해야겠고 그러자고 Linux 를 깔자니 귀찮고, 그렇다고 항상 서버에 접속해서 일을 할 수는 없는 것이고.. 이럴때를 위한 획기적인 방법이 존재합니다. 바로 colinux 라는 솔루션입니다. vmware 에 가깝다고 보시면 되는데 가상의 리눅스 머신을 윈도안에서 띄우는 솔루션이지요. 자 이제 이것을 설치하면 서버머신이 없더라도 윈도에서 놀면서(!) 서버일을 할 수 있는 멋진 장점이 있습니다. http://www.colinux.org/ 에서 좌측 프레임의 Downloads 링크를 따라가면 나오는 페이지에서 coLinux-0.7.3.exe 를 받아서 설치합니다. 설치중에 어디에다 설치할 것인지 물어보는 부분이 있는데 기본으로 "c:\Program Files\coli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