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깃 (2)
Dharma
저는 Command Line 에서 GIT 을 쓰고 있습니다. '뭐든지 가장 기본이 되는 것부터 마스터를 하자!' 라고 평소 떠들고 다니기도 하지만, CLI (Command Line Interface) 가 가장 마음이 편안해 (?) 지는 환경이기 때문이도 합니다. 그러나 Eclipse 에서 개발이 최적화 되어 있는 분들은 어떤 방식이 되도 무조건 Eclipse 에서 돌아가길 원합니다. (진정한 IDE 라고 할 수 있죠) 그런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포스트가 있습니다. http://www.vogella.com/articles/EGit/ 일단 포스트 주소입니다. 그리고 이 포스트와는 별도로 저 분의 사이트는 안드로이드 개발하는 분들에게 참조가 될 만한 내용을 정말 많이 가지고 있어서 즐겨찾기 해두시고 가끔가다 ..
GIT 은 소스 레파지토리 시스템인데 그 중에 특별히 '분산' 개념이 들어가 있습니다. 다른 레파지토리랑 (cvs, svn) 비교를 많이 하지만 '분산' 이라는 점에서 많은 차별점이 있습니다. 원래 태어날 때도 여타 소스 레파지토리에 '분산' 기능이 없기 때문에 태어났기도 합니다. 조금 쉽게 이해를 하자면, GIT 은 기본적으로 제 Local 에 레파지토리를 가지고 있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중앙 개념이 희박합니다. Local 에서 리비젼 관리가 완벽하게 이루어 집니다. Remote(원격) 개념은 공동 작업을 할 때 필요하다고 보면 될 것입니다. 결국 push / pull 은 원격에만 관여하는 것이고 나머지 기능들은 Local 에서 소스 관리하는 기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질 구레한 것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