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발환경 (5)
Dharma
아직도 외국 리스퍼들 이나 커뮤니티에 가보면 Windows 에서 Lisp 개발 환경 꾸미느라 고생한다는 글이 종종 보이곤 합니다. 예전에 Weblock 프로젝트 개발 환경을 Windows 에서 구현하는 것이 의미 있다고 생각해서 정말 열심히 노력해서 8시간만에 세팅한 적이 있었습니다. 뭔가 모잘란 듯 하지만 잘 구성되서 만족하며 썼었습니다. 그 후로 잠시 잊고 있다가 , 다시 같은 개발 환경을 Ubuntu 에서 할 경우가 있었습니다. (CentOS 가 아닌 Ubuntu 입니다). 3분 걸리더군요.. 8시간대 3분 , 게다가 8시간짜리 환경은 완벽한 환경도 아니였습니다. SBCL 윈도우즈 버젼은 그 때 당시에는 쓰레드 지원이 안됐습니다. 제대로 되지도 않는 개발 환경을 세팅한다고 8시간을 허비해야 할 가치..
개발자로 살아 오면서 이거 저거 만지작 거리다 보니, 모바일 플랫폼쪽 개발을 자주 해보게 됐습니다. 윈도즈 모바일(Windows Mobile), 아이폰( iPhone) , 안드로이드(Android) 로 이거 저거 만들어 봤습니다. 본의 아니게 자주 접하다 보니 이거 저거 장단점을 비교하게 되더군요. 나름 세개를 비교하는 오만을 저질를려고 하니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고 하더라도 '이 사람은 이렇게 생각하는 구나' 하고 봐 주세요.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개발자의 입장에서 가장 좋은 것은 안드로이드 라고 봅니다. 개인 개발자 측면에서 2가지만 이야기 하겠습니다. 추후에 상업화해서 돈을 얼마나 벌 수 있는 가에 대해서는 언급하기가 힘듭니다. 저 역시 그런 것으로 돈을 벌어본 적이 없어서요. 저는 그래서 개발자 ..
연일 맥을 가지고 놀다 보니 발견하게 되는 개발 환경과 작업 환경 세팅시의 문제점들이 발견 되는 군요. 저는 Emacs 로 텍스트 파일들을 작성해서 svn repository 에 보관을 합니다. 그렇게 집 , 회사 , 노트북 세가지를 동기화 시켜왔는데 이제 osx 를 사용하다 보니 첨 쓰게 되는 환경에 당황하게 되는군요. 너무 쉽게 됐던 것들이 안되니 참으로 난감하기도 하고 -ㅅ-; 암튼 구글링 저헐라게 하다가 우연히 알게 되는 사실로 해결이 되는 군요. .emacs 에서 한글을 쓰기 위해서 세팅하는 과정입니다. (set-language-environment "Korean") (set-terminal-coding-system 'utf-8) (set-keyboard-coding-system 'utf-8) ..
부자들을 위한 개발 환경 갖추기 예전에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개발 환경 갖추기의 일환으로 coLinux 를 소개 한 적이 있었습니다. 기반은 윈도 계열(XP 나 Vista )을 사용하고 있지만 서버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서는 리눅스가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서 쓰기에 좋다고 소개드렸습니다. 이제는 부자를 위해서 입니다. 리소스는 남아돌고 대체 어떻게 써야 하는지 모르겠다 라는 분들 많으시리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항상 씨피유 4개중에 3개는 남아돌고 메모리는 2기가씩 남으면 비디오 메모리는 넘치고 (현재 1기가) , 하드는 1테라 입니다. C군: 그래서 컴퓨터를 키면 UFO 발진하는 소리가 들리는 게냐? -0- 그래서 PC 안의 작은 PC 버추얼박스를 깔아보기로 합니다. VMWare 라는 상용이 있지만 ..
- 솔라리스 서버 개발환경 세팅 - 1. 포르테 설치되어 있는 디렉토리를 .profile 에 기입해 줬다. /opt/SUNWspro/bin 이 cc 와 CC 가 설치되어 있는 곳이다. 2. emacs 를 설치하기 시작했다. emacs 는 configure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는데 이는 GNU make 3.81 을 설치해서 해결을 보았다. 2.1 GNU Make 3.81 을 설치하는데 문제는 없었으며 설치하고 나서 .profile 에 path 설정하는 곳에 /home/rskrt/bin 을 추가하고 이를 맨 앞으로 설정 해주고 /home/rskrt/bin 으로 이동해서 ln -s /home/rskrt/make-3.81/make make 로 링크를 걸어주었다. 3. emacs 컴파일이 끝나고 /ho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