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강좌 (3)
Dharma
https://www.gnu.org/software/emacs/manual/html_node/eintr/ 에 관련된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잘 모른다고 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쓰여졌다고 하는데, 제 생각에는 '글쎄요' 입니다. 물론 이 걸 보고 고수가 된 비전공자가 존재한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입니다. 필리핀 인가 싱가폴에서 사는 처자인데 Emacs 의 org-mode 에 반해서 Emacs 를 배우고 Emacs Lisp 프로그래밍까지 잘하게 된 전설적인 케이스가 있습니다. 제대로 Emacs 를 쓰기 위해서는 한번 읽어볼 만은 하지만.. '글쎄요...' http://ergoemacs.org/emacs/elisp.html 차라리 실용적으로 배우실려면 위의 링크를 추천드립니다. 온갖 간단한 실용..
무엇인가를 해 볼려면 역시 설치부터!! 정말 하둡 초 간단 따라하기 식 설치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시작전에 환경세팅이 필요합니다. 어떤 OS 기반위에 설치할 것인가를 정해야 하는데 저는 그냥 리눅스로 정했습니다. 환경세팅자체도 쉽고 하둡도 리눅스를 추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가장 최근에 릴리즈된 우분투 11.10 (Ubuntu 11.10) - 다운로드 페이지 로 정했습니다. 하둡 설치 형태는 3가지로 나뉩니다. 1. StandAlone - 하둡 파일 시스템을 띄우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만 테스트 해 볼 수 있는 상태이다. 2. Pseudo Distribution - 하둡 파일 시스템을 구동시키고 한 컴퓨터에서 모든 데몬들을 띄워서 동작하는 것을 테스트 해볼 수 있는 상태 3. Cluster..
항상 이런 종류의 것을 부탁 받으면 고민되는 것이 프로그램을 잘 만드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고 (손 놓은지가 꽤 됨) 그렇다고 글 솜씨가 탁월하는가? (방문자 숫자를 보면...) 하면 그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이렇게 요청을 들어온 것을 보면 역시 살아가는데는 '인맥'이 제일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사실 어떠한 인맥보다는 '등가교환법칙'에 의함이 더 큽니다. 그렇다!! '등가교환법칙'은 비지니스의 법칙을 뛰어넘어 우주의 법칙입니다. (주는 대신 뭔가를 얻기로 한 것이죠..) 하지만 바쁜 회사일에 치여서 언제 써 줄지 모르는 상황이긴 합니다. 그래도 계속 계속 미뤄둘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일단 제 블로그에라도 초안을 올리고 그것을 다듬어서 요청하는 쪽에 올리는 방향으로 가기로 했습니다. 프로토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