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분이 우분투 서버를 집에 설치하셔서 개인적인 클라우드를 구축하셨습니다. 그래서 집에 굴러다니는 컴퓨터가 눈에 들어오더군요. 그래서 저도 잽싸게 그 분을 따라서 클라우드 구축에 들어갔습니다. 구축 방법은 나중에 쓰기로 하고요.
일단 제가 가지고 있는 최신 맥북 에어 (Macbook Air) 에서 우분투에 구축한 Samba 파일 공유에 접근이 안되더군요.
애플이 오픈소스 Samba 를 버렸다고 합니다.(물론 그렇다고 하는데 포함은 되어 있습니다. 잘 안돌아가서 그렇지) 그래서 samba 로 어떻게든 연결해볼려고 하던 노력을 전부 치워버렸습니다. 대신 AFP 라는 걸로 바꿨다고 하니 우분투에 AFP 관련 된 것을 설치하면 되겠다고 생각해서 쉽게 설치했습니다.
1. Netatalk 를 설치한다.
$ sudo apt-get install netatalk
2. /etc/default/netatalk 를 열어서 다음과 같은 것을 찾아서 커멘트들을 해제해주거나 못 찾는 것은 추가해 줍니다.
ATALKD_RUN=no
PAPD_RUN=no
CNID_METAD_RUN=yes
AFPD_RUN=yes
TIMELORD_RUN=no
A2BOOT_RUN=no
3. netatalk 를 재시작 해줍니다.
$ sudo /etc/init.d/netatalk restart
4. OSX 에서 '파인더(Finder)' 를 실행 시키고
'이동' -> '서버에 연결'
을 선택하시고 서버의 주소를 입력하시면 바로 공유 폴더에 접속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milaero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Reply: 광이랑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Eco_Hong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잘 활용해 보겠습니다. :-)
Reply: 광이랑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넵 집에 서버를 만드는 경우에 아주 유용합니다.
4D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저같은 경우 Ubuntu에 Smaba (혹은 cifa)로 접속하여 파일을 NAS를 구성하여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포기한건 아닌 것 같구요. ISP에서 cifs나 samba에서 사용하는 port를 막아 놓은 상태라 Local에서는 쉽게 되지만 다른 곳에 가서는 안되는 경우가 많아요. 이 경우에 port forward를 통해서 다른 port로 우회하여 접속후 다시 cifs 포트로 돌아서 들어가면 보통 접속이 된답니다.
Reply: 광이랑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삼바가 되는데요. 맥용 Lion 에서 접속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결국 글에 나온대로 AFP 설치해서 외부에서도 잘 접속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