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는 세 가지 종류의 혁신이 있다. 첫번째는 파괴적 혁신이다. 보통 산업이 발달하면 상품이나 서비스가 비싸고 복잡해져 부자들만 살 수 있게 된다. 파괴적 혁신은 이런 복잡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단순하고 저렴하게 만들어 더 많은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이런 혁신은 기업뿐 아니라 전체 경제의 성장을 이끈다. 한국도 과거 고도성장기에 파괴적 혁신을 통해 성장했다. 예를 들어 LG는 중산층도 살 수 있는 에어컨을 만들어 수입을 대체했고 이를 통해 한국 전자업계를 일으켰다.”

두번째는 존속적 혁신(sustaining innovation)이다. 기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선해 더 비싼 제품을 만들어 수익성을 높이는 것이다. 물론 중요한 혁신이지만 성장에는 도움이 안 된다. 대체재 성격을 갖기 때문이다. 예컨대 도요타가 몇 년 전 미국 시장에 하이브리드 자동차인 프리우스를 출시했다. 하지만 프리우스 때문에 소비자들은 더 이상 캠리를 사지 않게 된다. 세 번째는 기업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율적 혁신(efficient innovation)이다. 이는 고용을 줄이는 결과를 낳는다. 예를 들어 월마트 등 대형매장은 효율적이지만 기존 소형 점포들이 사라지면서 고용은 줄어든다. 한국은 더 이상 파괴적 혁신에 투자하지 않고 지속적, 효율적 혁신에만 집중하고 있다. 이것이 한국 기업과 경제가 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다.



   세계 경영학의 대 구루인 크리스찬슨 교수의 인터뷰 입니다. 최근 계속해서

  
1.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 기업은 낮은 단계 (부품부터) 부터 높은 단계 (브랜드)까지 스펙트럼을 넓게 가져가야 한다.

2. 장부상의 효율을 따지다 보면 핵심 역량이 뒤쳐질 수 있고 그러다 보면 낮은 단계의 파괴적 혁신을 감행하는 기업에게 따라 잡히게 된다.

이러한 이야기를 하고 다니십니다. 저번 가트너 심포지엄 (관련 아티클 보기 클릭)에서도 비슷한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들을만한 내용 같습니다.

기사 원문 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