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arma

[HBR] Should You Invest in the Long Tail? 본문

마케팅&혁신

[HBR] Should You Invest in the Long Tail?

광이랑 2008. 8. 1. 18:07
롱테일 경제학 이라는 유명한 책이 있습니다. 그 책에 대한 어떤 회의를 가지고 쓴 HBR 아티클 입니다. 같은 표본을 가지고 다른 결론을 내서 재밌게 읽었습니다.

마지막 부분에서 정리된 것을 잠깐 살펴보자면

Advice to Producers

1. 블록버스터 자원분배 나 제품-포트폴리오 관리 전략을 급하게 바꾸지 말라 . 여전히 소수의 잘 팔리는 상품이 오랬동안 팔릴것이다. - 심지어 전보다 그 이상으로 잘 팔릴 것이다.

2. 배급의 꼬리 끝(롱 테일의 끝부분을 말하는 듯 합니다)부분을 위해서 틈새 상품을
생산할때 비용은 가능한한 낮춰야 한다. 이부분에서 성공하기란 쉽지가 않고 , 앞으로 더
적어질 것이다.

3. 디지탈 채널에서 존재감을 강화시킬려고 노력한다면 , 기존의 가장 유명한 제품에 마케팅 포커스를 맞춰야 한다.

4. 제품을 온라인에 노출시키고 사용자들이 제품-포트폴리오 전반에 대한 요구를 할수있게 하기 위해서 투자를 집중해야 한다.

Advice to Retailers

1. 만약 목표가 헤비 고객(많은 양의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들)들의 요구를 채워주기 위한
것이라면 분류를 틈새 상품으로까지 늘려야 한다.

2. 거의 안팔리는 제품들의 비용을 엄격하게 관리해야한다.  만약 가능하다면 고객이 실제로 매매를 시작하기 전까지 어떠한 비용도 발생시키지 않는 능률적인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온라인 네트워크를 이용해야 한다.

3. 가장 유명한 제품을 이용해서 고객들을 관리하고(기존 고객들 경우) , 신규 고객을 유치해야 한다.

4. 비인기 품목이 사실상 높은 마진을 가져다 줄지라도 , 사용자에게 '꼬리'부분(비인기 상품들)을 너무 자주 직접적으로 노출 시키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고객들의 불만족을 감수해야 할 것이다.

Who Will Prosper

크 리스 앤더슨은 '최소 공배수(거의 모든 사용자들이 최소한으로 만족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예를 들면 블록버스터 같은) 모드에서 변경해 틈새상품을 배치하는 방법을 아는 기업만이 번영할 것이다' 라고 이야기 했지만 , 실제로는 (여전히 소수의 블록버스터에 의존하기 때문에) '꼬리'부분에서 많은 돈을 벌어들이는 지는 상당히 의심스럽다. 그렇기 때문에 개별적인 베스트셀러를 자본화 하는 최적의 능력을 가진 기업만이 번영 할 것입니다.

사실상 롱테일이 경제상황에 딱 부합하는 건 아니고 , 아직도 세상은 '승자 독식' 시나리오 대로 움직이고 있다고 말합니다.

재밌는 상황이지요? 이에 대해 글 좀 쓰시는 크리스 앤더슨, 바로 딴지 거십니다.

원문 : http://blogs.hbr.org/cs/2008/07/the_long_tail_debate_a_respons.html

길게 쓰여져 있지만 쉽게 요약을 하자면, 용어의 정의가 잘못 됐다고 합니다. 즉 'Head' 와 'Tail' 의 용어 선택이 자신이 정의한 것과 다르다고 합니다.

크 리스 앤더슨이 아티클에 나온 수치를 가지고 반박한 것이 '랩소디 데이타에서 10% 의 음악이 전체의 플레이 된 음악의 78% 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그뿐 아니라 1%의 음악이 전체의 32%를 차지한다고 하기 때문에 꼬리부분이 별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 라는 아니타 엘버스의 주장은 10%를 Head 로 보기 때문에 그런 혼용이 오는 것이다. 1%의 음악이라고 해도 월 마트의 진열되어 있는 음반수보다 많기 때문에 , 사실상 1% 를 Head 로 봐야 하며, 그렇게 따지면 Tail 부분은 68% 의 점유율을 보이기 때문에 자신이 책에서 언급한 것보다 점유율이 높다고 합니다.


상황이 재밌게 되어 가지요?

그래서 여기서 아니타 앨버스가 바로 응답을 합니다.

원문 :  http://blogs.hbr.org/cs/2008/07/the_long_tail_debate_a_respons.html

첫째 . 꼬리는 긴게 맞지만 '극한적'으로 평평하다. 둘째 헤비 유저에 비해서 라이트
유저는 상대적으로 유명한 작품을 좋아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다시 데이타로 돌아가자면 닐슨( Nielsen )의 데이타들은 롱테일형 제품들의
운명의 장미빛 미래 가 아니라 , 꼬리를 이루고 있는 제품들은 거의 팔리지 않거나,
스케일이 작은 업체들에게 생산된 것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고 합니다.

용어 논쟁도 의미가 없는 것이, 선하나만 긋는다고 '머리' 와 '꼬리' 가 갈리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다분히 자의적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음 더구나 월마트의 매장 수량이
늘어나면 모든 '꼬리'들의 분류가 갑자기 늘어나는 거냐고 묻고 있습니다.

앤더슨의 롱테일 이론이 디지탈 기술이 시장과 사업 기초를 바꾸고 있다는 대학적 연구를
이끌어 낸건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경영학적 결정이 기술 효과의 낭만적인 지표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존재하는 경험적인 증거를 바탕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내 아티클에서 밝히고자 했던 내용이며, HBR 독자들이
유용하게 알아주기를 바란 다고 글을 마무리 합니다.

누가 맞을까요?

제 느낌에는 아니타 앨버스는 기술이 경영에 미치는 영향에는 많이 조심스러운 입장인 것 같습니다. 'Good to Great' 에서 말하는 '기술은 단지 가속 폐달 일 뿐이다. 바퀴를 굴러가게 하지는 않는다' 와 일맥상통한다고나 할까요?

환경이 바뀐것도 사실입니다. 저는 누가 옳다고는 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 다만 크리스 앤더슨을 믿고 싶을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