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arma
[개발자에서 CTO 까지] 과연 거대한 기획이라는것이 의미가 있는지? 본문
'계획적으로 살아라' , '너는 왜 아무 계획없이 사냐?', '사업은 기획에서 부터 다 결정된다.'
나도 이 말을 맹신하던 시절이 있었다. 물론 아예 기획 없이 진행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사전 계획은 무슨 일이던 필수이다. 다만 탑-다운 방식으로 성대하게 계획을 하고 세부 계획까지 세우고 일을 진행하는 방식에 회의가 있다는 말이다.
예전 기록을 살펴보면 탑-다운 식 설계의 유명한 프랭클린 플래너도 샀다. 그리고 열심히 연초에 그 해의 할 일들 이루어 내야 할 일들을 적어내고 그 해에 그걸 지켜보려고 노력을 했다. - 예를 들면 다이어트 - 그리고 연말에 돌이켜 보면 연초에 열심히 계획했던 일이 하나도 지켜지지 않는 상황에 대한 자괴감도 컸던거 같다.
즉.. 계획한대로 또는 기획한대로 일이 흘러가는건가에 대한 고찰이다. 물론 잘 지켜지는 사람에 대해서는 예외로 한다. 철저하게 나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나 자신도 내가 계획한대로 흘러가지가 않는데 여러 인격이 모인 팀이나 회사 입장에서 철저하게 세운 계획대로 흘러갈 수 있을까?
수 많은 기업들이 최초의 계획대로 흘러가는 경우가 얼마나 될까? 본인이 다니는 회사에서도 성대하게 세운 계획하에 진행된 일 보다 시작은 가벼운 기획이 제대로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서 알아서 광고가 되는 경우가 있다.
구글이 처음부터 지금 같은 회사가 되기를 계획했을까? 시작은 스탠포드 대학교의 검색 라이브러리 였다. 아마존은 지금과 같은 거대한 제국을 이루었을까? 그냥 도서 판매하는 사이트였다. 넷플릭스는 지금처럼 거대한 OTT의 최강자가 되리라고 초반에 DVD 대여 사업을 할 때 생각을 했을까? 페이스북은 하바드대학교의 미녀들 품평하는 사이트에서 지금같은 초 거대 SNS 의 강자가 될 수 있음을 계획했을까?
가볍게 해외의 예만 적었지만 지금 합병된 카카오의 PC 포탈 플랫폼인 다음은 초창기에 구상했던 사업은 지금과는 전혀 다른 서비스였다. 거대한 IT 회사가 될 수 있게 해준 한메일은 여러가지 사업이 실패하고 재기를 꿈꾸던 포트폴리오의 가장 마지막을 차지했던 서비스였다.
카카오는 어떤가? 카카오의 전 회사 이름은 기억도 나지 않는다. 카카오톡이 뜨고 나서 회사 이름까지 바꿨으니 카카오톡이 카카오가 진행한 프로젝트중 5번째 프로젝트다. 회사 창업한지 몇 년이 지난 후로 알고 있다.
앵그리버드는 로비오 엔터테인먼트의 36번째 게임이였다.
결론을 짜맞춘다고 볼 수도 있지만 결국 핵심은 '실행' 이였던거 같다. 가벼운 생각이 공상이나 망상에 그치지 않게 그 아이디어를 간단하게 기획하고 일단 실행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황에 맞게 거기에 '패치' 작업을 하는 것이다.
패치는 개발 용어로 문제가 생긴 코드나 새로운 기능을 덧붙여서 기존 코드를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행위를 말한다.
왜 이래야 하는걸까? 현실이 너무 많은 변수가 있기 때문에 계획서에 다 담거나 계획서에 쓰여진대로 실행하다가는 현실의 변수를 무시 못하기 때문에 그 과정을 맞춰가며 바꾸다 보면 계획만 하다가 끝나는 경우가 너무 많기 때문이라고 본다.
즉 머릿속에서 생각하는 환경 자체가 현실하고 동 떨어져 있는 경우가 정말 많다. 게다가 대중의 선택이라는게 그리 쉬운 일은 아닐것이고.
주저리 주저리 말이 많았지만 하고자 하는 내용의 핵심은
기획하는데 쏟아낼 수많은 에너지를 '실행'에 집중해라. 일단 '시작' 하고 상황이나 시장의 반응에 맞춰서 기획을 지속적으로 '수정'(패치) 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