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세이건 지음, 임지원 옮김

영장류 새끼들은 (인간을 포함한) 세 가지 대상에 대한 공포를 타고 나는 것으로 보인다. '추락, 뱀, 어둠'이 그 세 가지이다.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것에 대한 공포는 나무 위에 사는 동물에게 부과되는 뉴턴적 중력의 위험을, 뱀에 대한 공포는 조상 대대로 포유류의 적수였던 파충류에 대한 공포를, 어둠에 대한 공포는 밤에 사냥하는 포유류 맹수에 대한 공포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본문중에서 


   
'한 분야의 명인이라는 것은 꼭 한 분야만이 아니라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지식을 소유하는 경우가 많다' 라는 말 처럼 칼 세이건은 천문학자 이지만 진화학에도 조예가 깊고 자신은 매우 무지하다고 했지만 뇌과학에도 상당히 심도 있는 글을 남겼습니다. 게다가 영화화가 진행된 소설인 '컨택트'의 저자이기도 합니다. 뿐만 아니라 아직까지 과학관련 교양서적에서 항상 추천되는 '코스모스'의 저자이기도 합니다. 이 책은 그 칼 세이건이 집필한 진화, 뇌, 꿈 등에 관해서 설명하고 있는 책 입니다. 

항상 용(Dragon)이라는 존재는 무엇일까? 궁금해 했었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공룡 대백과' 사전 등을 열심히 보고 자라면서 더욱 더 궁금해 했습니다. (단지 신화일뿐일까?) 그렇지만 지구상에 존재했던 생물들 중에서 용(Dragon)이라고 불릴 만한 생물은 역시 '공룡' 밖에 없겠지요. '우연히 발견된 화석을 보고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했던 걸까?' 라며 이런 저런 상상을 하면서 용의 정체를 나름대로 생각해 보곤 했었는데 제 상상의 깊이는 고작 만년정도 수준이였던 것입니다. 현생 인류가 지적인 발달이 다 끝나가는 상태에서 용의 존재를 상상하는게 아니였을까? 하는 생각이였지만 칼 세이건은 우리의 존재가 영장류에서 진화되기 전에 존재했던 포유류 시절에 '실제로 보고 느꼈던' 공룡들에 대한 유전적 기록이 아닐까 하는 가설을 내세웁니다. 재밌지 않습니까? 

뿐만 아니라 성서적 신화에서 존재하는 '에덴'의 존재 또한 인간의 뇌가 폭발적으로 진화한 시점에서 일어난 메타포적인 내용이 아닐까 하는 의문을 던집니다. 인간이 지능이 많이 부족했던 영장류에 가깝던 시절에서 지금의 모습과 가깝게 진화하며 떠나온 시절이 뱀과 공존하던 메타포적인 '에덴'이 아닐까 하는 것입니다. 

무려 30년 전의 책이지만 지금 읽어도 충분할 만큼 훌륭한 교양서적입니다. 이러한 서적들을 자주 보고 자주 생각해야 과학적인 사고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텐데요. 기술서적에 지친 이공계 인들에게 추천하고 싶습니다. 
 
  나이를 먹어가기 때문입니다. 라는 절망적이고도 확실한 대답이 있지만, 애써 그 답을 회피하자면. 

  '너무 다양하게 많은 정보' 

  로 인해서 뇌가 피곤해 하기 때문이라는 소리가 있습니다. 사람의 뇌는 기계가 아닙니다. 물론 기계 또한 혹사 시키면 수명이 줄어듭니다. 뇌는 쓰면 쓸 수록 좋아진다는 소리가 있지만 그것과는 별도로 그 뇌를 운용하는 것이 사람이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 달라집니다. 

마음에 어떠한 걱정거리가 있을 때, 일을 하면 잘 되던가요? 아마 마음 한 구석에 자리잡은 걱정때문에 효율이 안 나올 것입니다. 일하는 중간 중간에 누가 방해를 하면 일에 집중이 잘 되던가요? 아마 다시 집중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이러한 사항이 뇌의 훌륭한 능력과는 관계가 없는 사람의 문제라는 것입니다. 

스마트폰만 보더라도 매번 오는 문자에 , 매번 오는 이메일에, 매번 오는 카톡에 도저히 집중할 수가 없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일하다 보면 청년성 치매에 가깝게 모든 것을 깜빡 깜빡 하게 됩니다. 

단순한 것, 쉽게 달성 할 수 있는 것 한가지, 목표를 그것으로 하고 나머지 것을 생각 안하는게 사업에서 좋을 수가 있듯이 너무 많은 정보들은 사람의 사고를 흐릴 수가 있습니다. 
  
뇌를 다양한 정보가 아닌 깊이 있는 정보로 훈련시키면 기억력을 좋아진다고 합니다. (이건 진짜 거짓말이 아닙니다) 

 머리가 태어날 때부터 좋은 것도 있지만 아무리 좋은 머리라도 너무나 다양한 것을 담아두려고 하면 기억에 혼선이 생깁니다. 이제부터라도 메일 필터링을 걸어서 필요한 메일 아니면 전부 삭제버리게 해두고, 카톡도 알림 소리를 꺼두시고, 메시지 소리, 벨소리도 다 꺼버리고, TV 도 안보기 시작한다면 집중력과 예전 기억들을 찾아보는 데 놀라운 효율을 발휘할 것입니다. 엘빈 토플러가 한분야를 공부하는 방식도 참조할 만합니다. 그는 관심이 가는 분야를 공부할 때는 그 분야외에 다른 책은 거들떠도 안본다고 합니다. 비록  한 번 본 책을 다시 볼지라도 그 분야의 책을 거듭해서 읽어서 전문가가 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어떻게 이렇게 살겠습니까? 항상 방법을 말하기는 쉽고 실천하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정말 자신이  청년성 치매가 아닐까 걱정되시는 분에게 추천하고 싶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