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많이 본 모습이라 자세히 봤다. 그렇다 여기는 밤바다 살인 사건이 일어나며 하루에도 두명씩 자살한다는 바로 그 라스 베가스 (Las Vegas) 이다. CSI 가 밤마다 발이 부르 트도록 범인을 찾아 헤메는 바로 그곳!! 명성과는 다르게 경찰차가 왔다 갔다 하는 모습을 볼 수가 없었다. 


벨라지오 호텔앞의 분수쇼는 유명하다고 한다. 밤에 시간을 맞춰서 분수쇼를 볼려고 사람들이 많이 와서 기다린다. 저 벨라지오 호텔에서 '태양의 서커스'의  O 쇼를 공연한다. 뭐 쉽게 말하면 '물 쇼'다. 그리고 감동 먹었다. 꼭 다시 한번 보고 싶을 정도로 'O 쇼'는 독보적이였다. 


그리고 뭐 당연은 하겠지만 카지노의 도시답게 모든 호텔에 카지노가 있다. 일확천금 (잭팟)을 노려보았지만 순식간에 재산을 탕진했다. 여기서 울면서 서울 가면 돌아온 탕자 되는 것인가?. 암튼 나와 도박은 안 맞는 걸로.. 



뿐만 아니라 보면 헉하고 놀랄만 한 것이 있다. 에.. 에펠탑이다!! 이야 놀랍군 미국에 에펠탑이 있다니. 그런데 작다!! 무지하게 작다. 나중에 진짜를 보게 되지만 암튼 뭔가 가짜 같은게 늘어져 있는게 많다. 여기 반대편은 피라미드도 있다. 물론 가짜다. 그래도 여기 야경은 멋있다. 멋있어서 계속 쳐다보게 되는 광경이다. 물론 저쪽 구퉁이에 보면 개선문도 보일 것이다. 



분수 쇼가 시작되면 요런 모습이 된다. 사막에서 이런 물 잔치를 보게 되다니 기분이 묘했다. 실제로 자동차로 요세미티에서 라스 베가스로 이동해 왔는데 가도 가도 끝이 안나는 사막 끝에 당도한 곳이 이런 풍요로운 라스 베가스 였다. 사람의 힘은 대단하다니까! 이렇게 자연을 이기고 이긴 끝에 자만하고 멸망해서 매드맥스의 세계가 시작되는 것인가?! 




데이비드 캘러헌 지음 / 강미경 옮김

처음 속임수에 대해 조사할 때, 나는 사기를 치고 싶어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전제 아래에서 출발했다.
고환을 쪼그라들게 만드는 약물을 복용해가면서까지 근육을 불리거나, 일부러 피가 도는 속도를 늦추어 투르
드 프랑스 기간 내내 반죽음이나 다를 바 없는 상태로 지내고 싶어 하는 운동선수는 없다. CNBC 에 출연해
내부자라면 모두 쓰레기인 줄 아는 주식을 과대 선전하고 싶어 하는 주식 분석가 또한 없다. 회사 수익 보고서를 조작하고 싶어 하는 회계사 또한 없다. 정보원을 조작하고 싶어 하는 기자 또한 없기는 마찬가지다.

그러나,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았다 라는 것입니다. 사회적으로 승자가 되고 싶어하는 욕구가 지나쳐 사기를
쳐서까지 승자의 위치에 오르고 싶어합니다.  그 이유로는

1. 새로운 압력 때문
 - 살아가기가 너무 힘에 겨운 경제적 압박입니다. 정말 남부럽지 않게 살아가기도 벅찬 그러한 경제적 압박이
  사람들을 궁지로 몰아가고 있습니다.

2. 승자에게 더 큰 보상이 돌아가기 때문이다.
 - 부의 규모는 지금보다 작지만 정의감은 지금보다 강했던 25년 전의 사회에선 전문 직업인들에게 그렇게 큰
   몫이 돌아가지 않았다. 하지만 1980년 대와 1990년대 들어 우리는 많은 사람이 쉽게 돈을 벌기 위해 편법을
   사용하는 사회에서 살게 되었다.
- 이렇게 편법을 동원해서 '승자'가 되면 말 그대로 모든것을 거머쥐게 되는 세상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3. 유혹 때문이다.
- 원칙적으로 '힘이 곧 정의다' 라는 생각에 동의하는 미국인은 거의 없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이러한 생각은
  현재 우리 사회 전체에 만연해 있으며, 신종 사기 대부분이 소득과 사회적 신분이 높은 사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4. 곳곳에 침투해 있는 부패 때문이다.
- 많은 사람이 도저히 도달할 수 없는 기대치 때문에 박탈감에 시달린다. 사람들은 편법에 기대는 사람들이 더
  빨리 성공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근면과성 성실이 성공에 이르는 지름길이라는 믿음을 우습게 여긴다.


어디서 많이 본 광경 아닙니까? 현재 한국에서 벌어지는 상황하고 너무 흡사합니다. 저자는 미국의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개탄하고 있는데, 책을 읽고 있는 제 자신은 한국의 상황과 너무 흡사해서 개탄하며 읽었습니다.  심지어

교육도 문제다. 저소득창일수록 교육을 덜 받으며, 정치 참요율이 낮거나 시민 절차를 통해 자신의 입장을
개진하는 데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중산층과 저소득층 사람들은 부자들에 비해 투표율이 낮다.

중산층과 근로계층은 계속해서 자신들의 경제적 이해와 상충하는 활동을 벌이는 정치인을 뽑는다. 미국 역사상 이 말이 요즘처럼 들어맞는 때는 일찍이 없었던 듯하다.

이 세 문장 처럼 요즘 한국 정치 실정에도 잘 맞는 말이 없는 듯 합니다. 그렇습니다, 한국은 미국의 경제,
정치를 모방함에 따라 사회현상도 지극히 닮아가고 있습니다. 물질 만능주의에 보수주의에 정치적인 성향을 가진
대형 교회마저..

결국 이러한 사회에 만연한 '치팅컬처'는 쉽게 개선될 요지의 것은 아닙니다.  '승자가 모든 것을 가져가는'
상황은 너무나도 상상하기에 달콤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문화가 개선되기 위해서는 기나긴 시간이 필요하며
또한 분명히 극복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 극복의 열쇠는 '정치' 도 '경제' 도 '종교' 도 아닌 바로 '교육' 입니다.

+ Recent posts